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재임 시절인 2019년 6월 30일 오후 판문점을 방문해 자유의집에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왼쪽)과 대화에 앞서 악수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북한이 전면 배격 중인 ‘비핵화’ 목표를 재확인했다. 그러면서도 미국은 북한과의 대화의 문은 여전히 열어뒀다. 이 와중에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6·25전쟁 당시 미군이 만행을 벌였다고 주장하는 박물관을 직접 찾아 국방력 강화 의지를 드러냈다.
미 백악관 당국자는 25일(현지시간) 전날 미 정부가 북한의 정보기술(IT) 노동자 해외 송출과 기타 불법 행위에 대해 신규 제재를 발표한 것은 대북외교가 당분간 어렵다는 판단에 따른 것인지에 대해 트럼프 대통령이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를 위한 김 위원장과의 대화에 문을 열어두고 있다고 밝혔다.
이 당국자는 “트럼프 대통령은 첫 임기 때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세 차례 역사적인 정상회담을 열어 한반도를 안정시키고, 비핵화에 관한 사상 첫 정상급 합의를 달성했다”고 강조했다. 2018년 6월 싱가포르, 2019년 2월 베트남 하노이에서 각각 열린 1·2차 북·미 정상회담과, 2019년 6월 전격적으로 이뤄진 판문점 회동 등 3차례의 북·미 정상 간 만남, 싱가포르 북·미 정상회담 때 나온 합의문을 언급한 것이다.
당국자는 이어 “트럼프 대통령은 이런 목표를 계속 유지하고 있으며, 완전한 북한 비핵화를 달성하기 위해 김 위원장과 소통하는 데 여전히 개방적”이라고 말했다. 이는 트럼프 행정부가 북한이 거부하는 비핵화 목표를 핵심 목표로 삼고 있으며 향후 북·미 정상 간 회담이 이뤄진다면 그 핵심 의제는 비핵화가 될 것임을 시사한 것으로 읽힌다.
미국은 한반도에서의 완전한 비핵화를 강조해 왔다. 미국과 일본, 호주, 인도 등 4개국 안보협의체인 쿼드(Quad) 외교장관들은 지난 1일 북한의 핵무기 개발과 탄도미사일 발사를 규탄하면서 한반도에서의 완전한 비핵화를 천명했다.
앞서 미 재무부는 지난 24일 북한의 IT 노동자를 베트남에 파견한 ‘소백수 무역회사’와, 불법적 자금 조달 활동에 관여한 김세운, 명철민, 조경훈 등 북한인 3명을 제재 대상으로 새롭게 지정했다.
또 미 법무부는 불법적인 담배 거래 등으로 북한의 대량살상무기(WMD) 자금 조달에 관여한 심현섭과 공범 6명을 기소했다. 국무부는 이들 7명의 체포 또는 유죄 판결로 연결되는 정보를 제공하는 사람에게 총액 최대 1500만 달러(약 200억원·개인별로 액수 차등책정)의 현상금을 제공할 것이라고 했다.
이런 상황에서 김 위원장은 국방력 증강 의지를 나타냈다. 조선중앙통신에 따르면 김 위원장은 정전협정 체결 72주년 기념일(7·27)을 앞둔 24일 신천계급교양관을 방문했다. 신천박물관 안에 위치한 신천계급교양관은 6·25전쟁 시기 황해남도 신천 지역에 주둔한 미군의 전적을 입증하는 사료를 전시한 곳이다.
북한은 미군이 민간인 3만5000여명을 학살했다고 주장하며 이곳을 ‘반미교양’의 거점으로 두고 미국을 향한 적개심을 고취하고 있다. 김 위원장은 “우리가 신천의 비극을 또다시 강요당하지 않으려면 적이 두려워하는 강력한 힘을 가져야 하며 최강의 자위력을 만반으로 키우는 길에 자주적 삶과 미래가 있다는 철리를 명줄로 이어가야 한다”고 힘줘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