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루비오 장관은 26일(현지시간) 폭스뉴스와의 인터뷰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푸틴과 좋은 대화를 나누고 전화 통화도 했지만, 어떠한 결과로도 이어지지 않는다는 사실에 점점 더 실망하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트럼프 대통령은 여전히 우크라이나 전쟁 해결에 관심을 갖고 있다"며 "전쟁을 끝내기 위해 러시아가 구체적인 행동을 하기를 원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미국은 이제 행동에 나설 때라는 것을 대통령이 분명히 밝혔고, 그는 인내심을 잃고 있다"고 말했다.
루비오 장관은 무역 갈등을 빚고 있는 중국과의 관계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그는 "상호 존중하는 관계를 갖고 싶다"고 밝히면서 미국과 중국을 세계 양대 강대국으로 지칭했다.
특히 그는 "중국은 지난 30년간 자신들이 팔고 싶은 물건은 무엇이든 미국 시장에 팔았지만, 미국에 대해선 중국 시장을 개방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루비오 장관은 중국과 러시아, 이란 등 미국에 적대적인 국가들의 협력 가능성에 대한 질문에는 “중국이 미국의 주의를 돌리기 위해 물밑에서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전쟁을 지원한다는 사실은 모두 알고 있다”고 답했다. 하지만 그는 이란 핵시설에 대한 공습 사례를 언급하며 세 나라의 협력이 더 심화하진 않을 것으로 내다봤다.
그는 "B-2 폭격기가 지구 반 바퀴를 날아 이란을 폭격한 뒤 다른 나라들이 알아차리기 전에 기지에 복귀했다"며 "이후 심지어 북한까지도 이란을 지원하는 데 조금 더 조심스러워졌다"고 전했다. 이어 "이 같은 현상은 미국에 강력한 대통령이 있고, 어떤 나라도 갖지 못한 강력한 군사력이 있기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