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달 24일 김영훈(오른쪽) 고용노동부 장관이 후보자 시절 민주노총 금속노조 주얼리분회 조합원들의 요청에 대화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여기 좀 봐 주십시오. 불법 사업장 조사 좀 해주십시오."
지난달 24일, 김영훈 고용노동부 장관이 후보자 시절 인사청문회 준비를 위해 서울지방고용노동청에 처음 출근하던 날이었다. 도어스테핑 현장에서 취재진 질문에 응답하는 김 장관의 목소리 뒤로, 불쑥 또 다른 목소리가 울려퍼졌다. 해당 건물 앞에서 농성을 이어가던 주얼리 세공 노동자였다.
장내는 순식간에 어수선해졌다. 일부 카메라 기자들은 동선을 바꿨고 주변 참모들도 눈빛을 주고받았다. 갑작스러운 돌발 상황에 모두가 움찔하던 순간, 김 장관은 "잘 챙겨보겠다. 인터뷰 끝나고 찾아뵙고 말씀드리겠다"고 짧게 응수했다.
약속은 지켜졌다. 그는 인터뷰를 마친 뒤 곧장 농성장으로 걸음을 옮겼다. 주얼리 노동자들은 "있는 그대로의 근로기준법만 지킬 수 있게 해달라"고 요청했다. 고용보험 의무 가입자임에도 불구하고 이들 중 70~80%가 여전히 가입돼 있지 않다는 현실도 전했다. "100개가 넘는 공장이 돌아가지만 법을 지키는 곳은 하나도 없다"는 말에 김 장관은 "해결책을 고민하겠다"며 고개를 끄덕였다.
법을 새로 만들어 달라는 게 아니었다. 지금 있는 법만이라도 살아서 작동하게 해달라는 외침이었다. 그렇게 마주 선 김 장관과 노동자의 모습은 취재진에 둘러싸인 채 이날 가장 상징적인 장면으로 남았다. '장관 후보자가 만난 1호 노동자'는 이렇게 탄생했다.
그리고 한 달 뒤, 김 장관은 다시 그들을 찾았다. 이제는 진짜 '장관'의 이름을 달고서다. 그는 취임 후 첫 업무지시로 서울 종로구 주얼리 제조업체 밀집지역에 대한 사업장 감독을 주문했다. 4대 보험 가입, 근로계약 체결 여부, 기본적인 근로조건 점검이 대상이었다.
통상적으로 장관들의 취임 초기 행보는 산업안전 점검이나 간담회 등 무난한 이슈들에 집중되기 마련이다. 그런데 김 장관은 가장 오래된 사각지대로 발걸음을 옮겼다. 후보자 시절 본인을 찾아왔던 이들을 이번에는 그가 먼저 찾아간 셈이다. 노동계 입장에서는 현장을 먼저 찾는 장관이 반갑지 않을 리 없다.
다만 장관이 현장을 찾는다 해서 곧바로 제도 개선으로 이어지는 것은 아니다. 현장을 둘러보는 데 그치지 않고 그 경험이 제도의 틀을 움직이는 동력으로 작용해야 한다. 장관 한 사람의 의지로 바뀌지 않는 현실을 노동자들은 이미 수년 간의 싸움으로 체감해왔다. 노동운동가 출신이라는 상징성도 결국 실천이 뒤따를 때에만 진짜 뉴스가 된다. 기대와 실망의 갈림길은 지금부터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더 이상 노동자들이 장관을 만나기 위해 거리로 나서지 않아도 되는 구조를 만드는 일이다. "김영훈을 만나게 해달라"는 외침보다 "김영훈이 우리에게 왔다"는 말이 익숙해져야 한다. 그때 '현장을 찾는 장관'은 이름값을 하게 될 것이다.
지난달 24일, 김영훈 고용노동부 장관이 후보자 시절 인사청문회 준비를 위해 서울지방고용노동청에 처음 출근하던 날이었다. 도어스테핑 현장에서 취재진 질문에 응답하는 김 장관의 목소리 뒤로, 불쑥 또 다른 목소리가 울려퍼졌다. 해당 건물 앞에서 농성을 이어가던 주얼리 세공 노동자였다.
장내는 순식간에 어수선해졌다. 일부 카메라 기자들은 동선을 바꿨고 주변 참모들도 눈빛을 주고받았다. 갑작스러운 돌발 상황에 모두가 움찔하던 순간, 김 장관은 "잘 챙겨보겠다. 인터뷰 끝나고 찾아뵙고 말씀드리겠다"고 짧게 응수했다.
약속은 지켜졌다. 그는 인터뷰를 마친 뒤 곧장 농성장으로 걸음을 옮겼다. 주얼리 노동자들은 "있는 그대로의 근로기준법만 지킬 수 있게 해달라"고 요청했다. 고용보험 의무 가입자임에도 불구하고 이들 중 70~80%가 여전히 가입돼 있지 않다는 현실도 전했다. "100개가 넘는 공장이 돌아가지만 법을 지키는 곳은 하나도 없다"는 말에 김 장관은 "해결책을 고민하겠다"며 고개를 끄덕였다.
그리고 한 달 뒤, 김 장관은 다시 그들을 찾았다. 이제는 진짜 '장관'의 이름을 달고서다. 그는 취임 후 첫 업무지시로 서울 종로구 주얼리 제조업체 밀집지역에 대한 사업장 감독을 주문했다. 4대 보험 가입, 근로계약 체결 여부, 기본적인 근로조건 점검이 대상이었다.
통상적으로 장관들의 취임 초기 행보는 산업안전 점검이나 간담회 등 무난한 이슈들에 집중되기 마련이다. 그런데 김 장관은 가장 오래된 사각지대로 발걸음을 옮겼다. 후보자 시절 본인을 찾아왔던 이들을 이번에는 그가 먼저 찾아간 셈이다. 노동계 입장에서는 현장을 먼저 찾는 장관이 반갑지 않을 리 없다.
다만 장관이 현장을 찾는다 해서 곧바로 제도 개선으로 이어지는 것은 아니다. 현장을 둘러보는 데 그치지 않고 그 경험이 제도의 틀을 움직이는 동력으로 작용해야 한다. 장관 한 사람의 의지로 바뀌지 않는 현실을 노동자들은 이미 수년 간의 싸움으로 체감해왔다. 노동운동가 출신이라는 상징성도 결국 실천이 뒤따를 때에만 진짜 뉴스가 된다. 기대와 실망의 갈림길은 지금부터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더 이상 노동자들이 장관을 만나기 위해 거리로 나서지 않아도 되는 구조를 만드는 일이다. "김영훈을 만나게 해달라"는 외침보다 "김영훈이 우리에게 왔다"는 말이 익숙해져야 한다. 그때 '현장을 찾는 장관'은 이름값을 하게 될 것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