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TX 평창역의 지역 주민 집단 고충 민원이었던 고질적인 주차난 문제가 해결될 전망이다.
국민권익위원회는 강원 평창군, 국가철도공단, 한국철도공사 등 관계 기관과 함께 협의 및 이견 조정을 통해 평창역 주차장을 확충하는 조정안을 도출했다고 29일 밝혔다.
2017년 12월 22일 서울-강릉 간 고속철도 개통과 함께 문을 연 KTX 평창역은 열차 이용객들이 이용할 수 있는 주차 규모가 64면에 불과했다. 주말이나 공휴일이 되면 역 주변이 무단 주차 차량으로 넘쳐났고, 이에 지역 주민과 관광객들의 불편과 안전사고 위험도 꾸준히 제기돼 왔다.
이에 평창군은 자체 예산을 투입해 평창역사 진입도로(4차선, 연장 200m)와 화단 등 역사 내외 여유 부지를 활용해 주차 공간을 조성하려 했으나, 철도공단이 철도 운영에 필요한 역 시설을 임의로 변경하지 못하게 하면서 문제가 됐다.
주차 공간 조성에 따른 국유재산 사용료 납부를 요구했고, 철도공사는 역사 내 유료 주차장의 운영상 문제로 입장 차이를 보이면서 평창역 주차장 확충 사업은 수년째 지지부진한 상태에 있었다.
권익위는 현장조사와 협의를 통해 관계 기관·지역 주민들과 함께 해결 방안을 모색했고, 모든 기관이 수용할 수 있는 조정안을 마련했다.
이번 조정안에 따르면 철도공단은 평창역 건설 당시 조성한 역사 진입도로와 역사 앞 부체도로를 평창군으로 이관하기로 했다.
평창군은 이관받은 역사 진입 도로변과 부체도로의 경사면(사면부) 등을 활용해 노상 주차장을 설치하되 평창역사 주변의 주차 질서 확립을 위해 교통지도를 설치했다.
철도공사는 주차장 확충 사업이 원만히 진행되도록 적극 지원·협조하기로 합의했다.
박종민 권익위 부위원장 겸 사무처장은 “이번 조정은 단순한 민원 해결을 넘어 관계 기관과 주민들이 서로 이해하고 양보해 지역의 숙원 사업을 해결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며 “앞으로도 권익위는 국민의 목소리에 귀 기울여 공공갈등을 조정·해결하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