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포항시는 지난 29일 영일만관광특구 일원이 해양수산부가 발표한 ‘복합 해양레저관광도시’ 사업 대상지로 최종 선정됐다고 30일 밝혔다.
이번 공모는 해양레저·관광 인프라를 갖춘 지역에 신규 민간 투자를 유치해 국가 대표 해양관광거점으로 육성하는 초대형 국책 사업이다.
시는 민간투자사업 1조1523억원에 정부 및 지자체 재정사업 2000억원을 매칭해 총 1조3523억원 규모의 계획 안을 제출하고, 오는 2034년까지 단계적으로 추진할 예정이다.
공모에는 포항을 비롯해 경기(시흥), 인천(송도), 충남(보령), 부산(다대포), 경남(통영), 전남(여수), 전북(고창), 강원(양양) 등 총 9개 지자체가 참여했으며, 서면·발표 평가, 현장 실사 등의 엄정한 절차를 거쳐 포항과 경남(통영)이 최종 선정됐다.
포항은 도심과 해안이 맞닿은 전국 유일의 입지에 50만 생활권 인구, 육·해·공 광역교통망과 관광·해양레저·신산업이 융합된 생태계 기반 등을 고루 갖춰 높은 평가를 받았다.
특히 POEX, 특급호텔, 복합마리나 등 민간·공공 대형 투자 사업이 집적된 영일만관광특구의 구조는 사계절 체류형 해양관광 실현 가능성을 입증했다.
시는 하반기에 국비 10억원이 교부되면 기본계획 수립 용역에 착수하고, 지역 주민의 의견을 반영해 실행 계획을 마련할 계획이다. 글로벌 수준의 해양도시 디자인을 적용하기 위해 핵심 사업에는 국제 현상 공모도 병행할 예정이다.
공모 주요 사업은 환호 영일대에서 송도 구도심으로 이어지는 관광 동선을 따라 전개된다.
재정사업(안)으로는 △환호공원 해양 예술 거점 조성 △복합마리나 구축 △글로벌 해양경관 특화 △송도 복합 해양문화관광 시설 건립 △송도솔숲·포항운하 명소화가 있으며, 민간투자사업으로는 △해양레저지원센터 △대관람차 △특급호텔 △옛 포항역 복합개발(1·2지구) 등 9개 사업이 연계된다.
시는 이번 공모로 선정된 영일만관광특구를 중심으로 호미반도권에 유치한 골프장·리조트·관광시설 등 4개 민간 사업(약 1조3000억원 규모)을 연계해 사업 범위와 효과를 확대할 계획이다.
또한 공공과 민간이 함께 참여하는 협력 구조를 강화해, 지역 주도형 프로젝트의 성공 모델을 만들 방침이다. 이를 통해 도시 전역으로 관광 동선을 확장하고 체류형 해양관광도시 전환 기반을 완성할 방침이다.
이번 공모 선정으로 사업이 본격화 될 경우 약 2700억원 규모의 생산 유발, 1만6000여 명의 취업 유발, 1100억원대의 부가가치유발 효과가 발생할 전망이다.
특히 사계절 체류형 관광 인프라가 구축되면 숙박, 상권, 교통, 해양레저 산업이 연쇄적으로 활성화되며 포항이 고도화된 글로벌 관광도시로 도약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강덕 포항시장은 “이번 공모사업의 선정은 민선 6·7·8기에 걸쳐 전략적으로 유치한 민간 투자와 해양레저관광 기반이 만든 값진 성과”라며 “공공과 민간이 함께 실행하는 대규모 프로젝트로 포항을 대한민국 대표 복합 해양레저관광도시로 도약시키겠다”고 밝혔다.
한편 시는 이번 공모 선정과 연계해 △첨단해양R&D센터 운영 △스마트 해양레포츠 e모빌리티 산업 육성 △APEC 크루즈 플로팅호텔 운영 등을 비롯해 △국제회의복합지구 지정 △호미반도 해양관광특구 지정 추진 등 관련 사업의 고도화를 함께 추진하며 글로벌 해양레저관광 생태계를 더욱 확장해 나갈 계획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