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장헬기로 NLL 이례적 위협 비행" 군 내부 증언…내란특검, 北 도발 유도 정황 포착

군항공사령부가 2025년 FSTIGER의 일환으로 동부전선과 서해상에서 각각 아파치 공격헬기의 장거리 전술 및 해상 편대비행을 실시했다고 13일 밝혔다 사진은 아파치 공격헬기가 작전을 위해 이륙하고 있는 모습 사진육군
군항공사령부가 2025년 FS/TIGER의 일환으로 동부전선과 서해상에서 각각 아파치 공격헬기의 장거리 전술 및 해상 편대비행을 실시했다고 13일 밝혔다. 사진은 아파치 공격헬기가 작전을 위해 이륙하고 있는 모습 [사진=육군]


12·3 비상계엄 사태를 수사 중인 조은석 내란특별검사팀이 비상계엄 선포 전 우리 군이 무장헬기로 북방한계선(NLL) 인근을 위협 비행해 북한 도발을 유도했다는 군 내부 증언을 포착해 살펴보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30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추미애 더불어민주당 의원실 자료에서 육군항공사령부 예하 항공여단 소속 관계자들이 항공사령부가 지난해에만 7~8회에 걸쳐 무장 아파치 헬기로 서해 NLL을 따라 비행하게 지시했다고 진술한 내용이 담겼다. 이는 합동참모본부 명령에 따라 작년 5~6월께 한 달에 1~2회씩 집중 실시된 것으로 알려졌다. 

당시 헬기에는 30㎜ 기관포탄과 헬파이어 미사일이 무장됐으며, 합참이 서해 NLL을 따라 연평도·백령도를 거쳐 북한을 향해 20분가량 비행하라는 지시를 하달한 것으로 전해진다. 통상 백령도 비행 시 안전 문제를 고려해 북한과 거리를 두고, 'ㄴ(니은)'자로 돌아가는 비행 경로를 택하는데 이러한 합참 지시는 상당히 이례적이라는 반응이다. 

더욱이 작전은 주로 야간이 아닌 낮에, 불과 2~3㎞ 떨어진 거리에서 이뤄졌다. 부대원들 사이에서는 '(대통령) 지지율이 떨어지니 북풍 몰이를 하려는 게 아닌가'하는 우려가 나온 것으로 나타났다. 당시 작전 상황을 가까이 지켜본 항공대대 관계자는 "한마디로 목숨 걸고 가서 격추되거나, 추락하면 그것을 빌미로 어떤 공작을 하려고 한 게 아닌지 의심된다"면서 "전형적인 '고기방패(총알받이)' 임무였던 것"이라고 털어놨다. 

심지어 평시 무장을 하지 않은 빈 헬기로 훈련을 해왔지만, 지난해 전시에 대비해 비축해둔 실탄까지 실으라는 지시가 내려와, 내부에서는 의아하게 여기는 분위기였던 것으로 드러났다. 

이에 특검팀은 12·3 비상계엄 선포 명분을 만들고자, 윤석열 전 대통령이나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 지시로 인명 피해 위험을 감수하고, 헬기를 띄어 북한 도발을 유도하려 했을 가능성을 놓고 수사 중이다. 또한 평양 무인기 투입 작전도 북한 도발을 유도하려 했다고 의심하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