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 삼성전자, 2분기 영업익 '반토막'··· 반도체 '어닝쇼크', 모바일 '선방'

  • 반도체, 영업익 4000억 그쳐

  • MX, 영업익 3조1000억

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삼성전자는 연결 기준 올해 2분기 영업이익이 4조6761억원으로 지난해 같은기간 대비 55.23% 감소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31일 공시했다.

매출은 74조5663억원으로 작년 동기 대비 0.67% 늘었다. 순이익은 5조1164억원으로 48.01% 줄었다.

반도체 사업을 하는 디바이스솔루션(DS)부문은 매출 27조9000억원, 영업이익 4000억원의 실적을 냈다. 영업이익은 2조원대 적자를 기록한 2023년 4분기 이후 최저치로 시장 전망치(1조원 안팎)를 크게 밑돌았다.

서버용 고부가 메모리 제품과 파운드리 주요 거래선에 대한 판매 확대로 전분기 대비 매출은 11% 증가했다.

영업이익은 메모리 사업의 재고 자산 평가 충당금과 비메모리 사업의 대중 제재 영향에 따른 재고 충당 발생으로 전분기 대비 8000억원 감소했다. 전년 동기(6조4500억원)와 비교하면 6조원 이상 추락했다.

메모리는 5세대 고대역폭메모리(HBM)인 'HBM3E'와 고용량 DDR5 제품 판매 비중 확대를 통해 서버 수요에 적극 대응했으며, 데이터센터용 솔리드스테이트드라이브(SSD) 판매가 증가했다.

시스템 LSI는 주요 플래그십 모델에 게이트올어라운드(GAA) 공정을 적용한 시스템온칩(SoC)을 공급하며 견조한 매출을 달성했다. 다만 첨단 제품 개발 비용 상승으로 수익성 개선은 제한적이었다.

파운드리는 전분기 대비 큰 폭의 매출 개선을 이뤘다. 다만 첨단 인공지능(AI) 칩에 대한 대중 제재 영향으로 재고 충당금이 발생했고, 성숙 공정 라인의 가동률 저하가 지속되면서 부진한 실적을 거뒀다.

디바이스경험(DX)부문은 매출 43조6000억원, 영업이익 3조3000억원을 기록했다. 특히 모바일경험(MX) 부문은 매출 28조5000억원, 영업이익 3조1000억원을 기록했다.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7.1%, 영업이익은 40.9% 늘었다. 전사 영업이익의 66%를 책임지며 실적 방어에 핵심 역할을 했다.

삼성전자는 "신모델 갤럭시 S25 시리즈가 출시됐던 1분기와 비교하면 2분기 판매량은 감소했다"면서도 "플래그십폰의 견조한 판매가 지속되면서 전년 동기 대비 매출과 영업이익이 모두 성장했다"고 설명했다.

네트워크는 해외 시장에서의 매출 증가와 리소스 효율화로 전분기 및 전년 동기 대비 수익성이 개선됐다.

영상가전(VD)사업부는 Neo QLED, 올레드(OLED·유기발광다이오드), 초대형 TV 등 전략 제품의 판매 비중이 확대됐으나, 글로벌 경쟁 심화로 실적이 하락했다.

생활가전은 성수기에 진입한 에어컨 판매 호조와 고부가가치 AI 가전 제품 판매 확대에 힘입어 수익성이 개선됐다.

전장·오디오 자회사 하만은 매출 3조8000억원, 영업이익 5000억원을 달성했다.

디스플레이(SDC)는 매출 6조4000억원, 영업이익 5000억원을 기록했다. 스마트폰 신제품 수요와 IT·자동차에 공급되는 중소형 패널 판매 확대로 전분기 대비 매출이 개선됐다.

삼성전자는 올 하반기는 실적이 개선될 것으로 예상한다. 반도체 사업은 서버용 메모리 반도체 수요에 적극 대응하며 판매를 확대하고, 엔비디아의 HBM3E 품질 테스크 통과 소식도 기대된다. 

또 AI와 로봇 산업 중심으로 시장 성장세가 확대할 것으로 봤다. 메모리는 D램의 경우 HBM, 고용량 DDR5 등으로 AI 서버용 제품 수요 강세에 적극 대응하고, 파운드리는 GAA 2나노 공정을 적용한 모바일 신제품 양산을 본격화한다는 계획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