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송언석 비상대책위원장 겸 원내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비상대책위원회의에서 "정부 협상 협상단과 삼성의 이재용 회장, 현대자동차 정의선 회장 등 민간 외교관들의 노고가 컸을 것으로 생각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송 비대위원장은 "다만 몇 가지 짚어야 할 부분이 있다. 그동안 (한국은) 미국과 FTA를 통해서 자동차 관세율이 제로였고, 일본은 2.5%를 적용받고 있었다"며 "동일하게 15% 관세율이 적용되면 상대적으로 일본 차의 경쟁력이 더 커지는 점이 우려된다"고 지적했다.
이어 "협상 시한에 쫓겨서 많은 양보를 했다는 느낌이 든다"며 "3500억 달러 규모의 대미 투자와 LNG 등 에너지 구매에 1000억 달러 등 총 4500억 달러의 대미 투자와 구매가 필요한 상황인데 우리 외환보유고보다 많은 액수의 과도한 금액이라는 생각이 든다"고 우려했다.
그러면서 "쌀·소고기는 이외에 다른 곡물이나 과일류 수입이 대폭 확대되는 것인지, 아니면 트럼프 대통령의 단순한 정치적 수사인지 정부에서 명확히 밝혀주길 기대한다"고 촉구헸다.
이어 "3500억 달러 규모도 일본과 EU의 GDP 규모에 대비해 생각하면 상대적으로 높은 비율이라 우리 국민 경제가 부담해야 될 비용"이라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