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은행 전경. [사진=연합뉴스]
한국은행이 한국에 대한 미국 상호관세율이 15%로 책정된 것과 관련해 향후 불확실성이 줄어들 것으로 봤다. 다만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금리 인하 경로 불확실성은 여전하다고 평가했다.
유상대 한은 부총재는 31일 '시장상황 점검회의'를 개최하고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결과 등에 따른 국제금융시장 상황과 국내 금융·외환시장에 미칠 영향을 점검했다. 이 자리에는 최창호 통화정책국장, 윤경수 국제국장, 최용훈 금융시장국장 등이 참석했다.
이날 회의에 앞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한국이 미국에 3500억 달러(약 487조원)를 투자하는 등의 조건으로 미국이 한국에 대한 상호관세율을 기존 25%에서 15%로 낮추기로 했다고 밝혔다.
유 부총재는 "한·미 무역협상이 주요국과 비슷한 관세율 수준에서 타결됨에 따라 관련 불확실성이 줄어들 것으로 기대된다"면서도 "미·중 등 주요국 간 무역협상이 진행되고 있는 만큼 글로벌 교역여건 변화가 국내 경제 각 부문 및 금융·외환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계속 면밀히 점검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미 FOMC 결과에 따른 시장 상황도 점검했다. 간밤 미 연준은 FOMC 회의를 열고 시장 예상대로 정책금리를 5차례 연속 동결(연 4.25~4.50%)하기로 했다. 2명이 인하 소수의견을 제시했다.
유 부총재는 "FOMC에서 연준의 경기 인식이 하향조정되고 소수의견이 제기됐다"며 "제롬 파월 미 연준 의장은 추가 금리인하에 대한 신중한 입장을 고수하고 있어 연준의 금리인하 경로와 관련된 불확실성은 여전한 것으로 평가한다"고 덧붙였다.
유상대 한은 부총재는 31일 '시장상황 점검회의'를 개최하고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결과 등에 따른 국제금융시장 상황과 국내 금융·외환시장에 미칠 영향을 점검했다. 이 자리에는 최창호 통화정책국장, 윤경수 국제국장, 최용훈 금융시장국장 등이 참석했다.
이날 회의에 앞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한국이 미국에 3500억 달러(약 487조원)를 투자하는 등의 조건으로 미국이 한국에 대한 상호관세율을 기존 25%에서 15%로 낮추기로 했다고 밝혔다.
유 부총재는 "한·미 무역협상이 주요국과 비슷한 관세율 수준에서 타결됨에 따라 관련 불확실성이 줄어들 것으로 기대된다"면서도 "미·중 등 주요국 간 무역협상이 진행되고 있는 만큼 글로벌 교역여건 변화가 국내 경제 각 부문 및 금융·외환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계속 면밀히 점검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유 부총재는 "FOMC에서 연준의 경기 인식이 하향조정되고 소수의견이 제기됐다"며 "제롬 파월 미 연준 의장은 추가 금리인하에 대한 신중한 입장을 고수하고 있어 연준의 금리인하 경로와 관련된 불확실성은 여전한 것으로 평가한다"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