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731부대 만행, 난징대학살 영화 잇단 개봉

4일 관영 신화통신 등에 따르면 일제의 중국 침략 당시 동북 지역에서 일본군 731부대의 세균전·생체실험 만행을 다룬 영화 '731'이 만주사변 발발일인 9월 18일에 개봉할 예정이다.
만주사변은 1931년 9월 18일 랴오닝성 선양 류타오거우(柳條溝)에서 일본 관동군이 남만주 철도를 폭파한 뒤 장쉐량(張學良) 군대 소행으로 조작해 이를 빌미로 만주를 침략한 사건이다.
중국에서는 매년 이날이 되면 전국 각지에서 '국치(國恥)를 잊지 말자'는 의미로 방공 사이렌을 울리는데, 반일 정서가 고조되는 시기에 맞춰 개봉을 택한 것이다.
이어 "731부대의 죄증을 잊으면 안 된다"면서 "그때의 비통한 역사가 영화를 통해 다시 드러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오늘날 평화가 오기 쉽지 않은 상황에서 중화민족의 완강하고 굽히지 않는 항쟁을 잊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중국 영화 예매사이트 마오옌에 따르면 영화 '731'을 보고 싶다는 관객 수는 384만명을 돌파하며 최근 '보고 싶은 영화 1위'에 올랐을 정도로 개봉 전부터 관심이 크다.
지난달 25일 개봉한 난징대학살을 다룬 영화 '난징사진관(南京照相館)'은 개봉 열흘 만에 15억 위안 박스오피스를 돌파하는 등 애국 열기가 고조된 가운데 흥행몰이 중이다.
영화는 일본군의 만행을 피해 사진관으로 피신한 중국 소시민들이 일본군의 학살을 입증할 사진을 현상하면서 해당 필름 원판을 보존해 세상에 공개하는 내용을 담았다.
이밖에 제2차 세계대전 시기 중국 어부들이 목숨을 걸고 영국군 전쟁 포로를 구하는 내용을 담은 '둥지다오(東極島)', 14년에 걸친 중국인들의 일제 항전 역사를 담은 다큐멘터리 '산허웨이정(山河爲證)'이 이달 개봉을 앞두고 있다.
반일감정 고조..中관영매체 "日, 역사 외면해선 안 돼"
중국인의 반일 애국 감정이 고조되는 가운데, 최근 중국 내에서는 또 한 차례 일본인 피습 사건이 발발하기도 했다.
지난달 31일 장쑤성 쑤저우의 한 지하철역에서 아이와 함께 중국을 여행 중이던 일본인 여성이 한 중국인 남성이 던진 돌에 맞아 다쳤다. 피해 여성은 병원으로 이송돼 치료를 받았으며, 생명에 지장은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용의자는 당국에 체포돼 조사 중으로 알려졌다.
일본계 기업이 많이 진출한 쑤저우에서는 지난해 6월에도 일본인 모자가 중국인 남성이 휘두른 흉기에 다치고 중국인 도우미가 숨지는 사건이 발생했다.
주중 일본상공회의소는 1일 성명을 통해 이번 일본인 피습 사건에 유감을 표명하며 일본인의 안전을 보장하는 것은 중국에서 사업을 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했다. 일본 정부도 중국 측에 용의자를 엄중히 처벌하고 유사한 사건이 재발하지 않도록 일본인의 안전을 보장해줄 것을 요구한 것으로 전해졌다.
반대로 최근 일본 도쿄에서는 일본인이 중국인을 폭행하는 사건이 발생하는 등 최근 중·일 양국 사이에 외국인 혐오 정서가 확산되는 등 양국 국민 간 감정이 악화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이러한 가운데 중국 관영 환구시보는 4일자 사평에서 “전후 80주년, 일본은 역사를 외면해서는 안 된다”는 경고 메시지를 전하기도 했다.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가 오는 15일 종전일에 '전후 80년 담화'를 발표하지 않을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서다. 일본 총리는 그간 10년 간격으로 종전일 무렵 '전후 담화'를 발표해 반성과 사죄의 뜻을 표해왔으나, 올해는 선거 패배에 따른 당내 퇴진론을 고려해 이를 발표하지 않기로 했다.
환구시보는 사평에서 “역사 인식 문제에 있어서 일본 정부는 외부에 마땅한 태도를 표명해야 한다”며 “침략 역사를 축소하거나 반성을 회피하려는 어떠한 시도도 국제 정의에 대한 도전이자 일본의 국제적 신뢰에 손상을 주는 행위”라고 꼬집었다.
사평은 “이 관행이 올해 중단되면 일부 일본 국민을 분노하게 하고, 일본의 아시아 이웃 국가들을 깊이 실망시킬 뿐만 아니라 국제사회가 일본의 미래 방향에 대해 의구심과 우려를 갖게 될 것”이라고 전했다.
그러면서 “올바른 태도로 역사를 인식하고 대하는 것은 전후 일본이 국제사회에 복귀하는 중요한 전제조건”이며 “역사 문제를 적절히 처리하는 것은 중·일 양국 관계를 유지하는 데 필요한 정치적 기초”임을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