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는 5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제7차 바이오 헬스 혁신 위원회를 열어 바이오 헬스 육성 방안 등을 논의했다.
김민석 국무총리는 이날 회의에서 "우리나라 바이오 헬스 분야는 높은 성장 잠재력을 보이고 있는 만큼 보건의료 R&D(연구개발) 투자 활성화, 규제 개선 등에 특별히 관심을 갖고 현장의 요구를 검토, 반영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지속적 민관협력을 통해 인공지능(AI), 데이터 공유, 규제 투명성 등 바이오 헬스 분야 발전을 위한 주요 의제를 선정해 성과를 조속히 창출하고, 효율적 거버넌스 구축 논의도 진행해 나가겠다"고 덧붙였다.
회의 참가자들은 각 부처 검토가 진행된 과제들 가운데 핵심 규제개혁 과제 6개를 선정해 추가 개선 방안을 논의했다.
정부는 향후 혁신 의약품 후보 물질을 보유한 임상 3상 기업에 대한 특화 펀드 조성을 검토하는 한편, 환자 진료에 필수적인 의약품의 약가 기준을 개선하기 위해 약가 인상 조정 기준을 연내 공개할 예정이다.
아울러 선진국 규제 강화에 대응한 맞춤형 비용지원 확대, 중소 화장품 기업 해외 진출을 위한 온라인 판매장 운영, 글로벌 전문가 네트워크 및 정보 제공 지원 확대, 퇴장방지 의약품 원가 산정방식 개선 등도 추진하기로 했다.
회의에서는 '팬데믹 대비 메신저 리보핵산(mRNA) 백신 개발 지원사업' 추진 상황도 점검했다.
회의에 보고된 개혁 과제 검토 결과는 향후 소관 부처 및 전문가 자문단의 논의를 거쳐 공개될 예정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