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관세각료 "美 상호관세 발표, 합의와 달라…수정 요구할 것"

  • "英, 車관세 시행까지 54일 걸려"…자동차 관세 인하 지연 가능성 언급

  • 5500억 달러 규모 투자 관련해선 "日기업에 장점 없으면 투자 협력 못해"

아카자와 료세이 일본 경제재생상 사진AFP·연합뉴스
아카자와 료세이 일본 경제재생상 [사진=AFP·연합뉴스]
미국과의 관세 협상을 주도한 아카자와 료세이 일본 경제재생상은 5일(현지시간) 미국이 일본에 부과한 상호관세 내용이 양국 합의와 다르다며 수정할 것을 요구하겠다고 밝혔다.
 
교도통신과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에 따르면 아카자와 재생상은 이날 미국 워싱턴 DC 인근 공항에서 기자단과 만나 “(미국 상호관세 발표가) 합의 당시나 그 전후에 미국 측 각료로부터 들었던 것과 내용이 다르다”며 “경위를 설명받고 합의한 내용이 실제로 이행되도록 요구하겠다”고 강조했다.
 
앞서 일본은 지난달 미국이 부과하는 상호관세를 기존에 예고됐던 25%에서 15%로 낮추고 자동차 관세도 총 27.5%에서 15%로 인하하기로 합의했다.
 
당시 일본 정부는 관세율이 15% 미만인 품목은 상호관세 15%가 적용되고, 기존에 관세율이 15%를 넘었던 물품은 상호관세가 별도로 추가되지 않는다고 설명했지만 미국 대통령령과 세관당국 문서에는 이 같은 특별 조치가 일본에 적용되지 않았다.
 
아울러 아카자와 재생상은 미국의 자동차 관세 인하 시기에 대해서는 최대한 조속히 시행해 달라고 강하게 요구하고 있다고 말했다. 다만 그는 “영국도 합의에서 실현까지 54일이 걸렸는데, 그러한 것도 염두에 두는 것이 좋다”며 자동차 관세 인하 시기가 늦어질 수도 있음을 시사했다.
 
그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일본의 5500억 달러(약 765조원) 대미 투자액은 “우리가 내키는 대로 투자할 수 있는 자금”이라고 언급한 것과 관련해서는 “일본 기업과 일본 경제에 이익이 없다면 협력할 수 없다”고 말했다. 그러면서도 그는 미국 내 공급망 구축 과정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의지가 강하게 반영될 것”이라고도 덧붙였다.
 
아카자와 재생상은 이번 방미 기간(5~8일) 하워드 러트닉 미 상무장관 등과 회담을 갖고 양국 합의 사항을 재점검할 예정이다.
 
한편, 일본 정부 대변인인 하야시 요시마사 관방장관은 6일 기자회견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의약품 관세를 향후 250%까지 올릴 가능성을 언급한 것과 관련해 “(미·일 합의에 따라) 우리나라가 다른 나라보다 불리한 대우를 받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