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동안 모집병 선발에 합격하기 위해서는 여러 가산점을 취득해야만 했다. 이는 군별·특기별 특수성을 반영해 우수한 인력을 획득하기 위함이었으나 반대로 병역 의무 이행을 준비하는 청년들에게는 부담이라는 지적이 제기됐다.
이에 따라 병무청은 군 임무 수행과 연관성이 적은 평가 항목은 과감히 폐지·축소키로 했다. 올해 10월 모집병 접수부터 한국사능력검정시험·한국어능력시험 가산점 2종을 없애고, 무도단증 등 전투(특기)와 관련 있는 자격증 외 비공인 민간 자격은 모두 폐지했다.
또한 상한선도 당초 15점에서 10점으로 낮추고, 육·해·공군·해병대 각각 달리 적용됐던 고교 출결 배점도 모두 5점으로 축소 통일했다. 이를 통해 모집병 지원자는 불필요한 자격증 취득 등 ‘스펙 경쟁’에 몰두하던 일들이 줄어들 전망이다.
이에 병무청은 내년에 입영하는 육군 기술행정병의 6개 특기를 10월 중 선발할 계획이다. 병역 이행을 준비하는 청년들이 조기에 입영일을 확정하고, 차질없는 미래설계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홍소영 병무청장은 "이번 모집병 제도 개선은 군 임무와의 관련성이 낮은 평가 항목을 정비해 더 실질적이고 공정한 선발 체계를 만들기 위한 노력"이라며 "병역이 개인에게는 성장의 계기가 되고, 사회에는 명예로운 기여로 인식될 수 있도록 입영 제도 전반을 국민 눈높이에 맞춰 끊임없이 다듬어 나가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