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EPA·연합뉴스]
# A씨는 어느 날 모 증권사 직원 B씨로부터 “로또 번호 예측 사이트 가입비를 환불해주겠다”는 연락을 받았다. A씨는 가상자산 지갑을 통해 가상자산을 받았지만 이후 가상자산이 과다지급됐다며 일부를 현금으로 돌려달라는 요구를 받았다. A씨는 총 1억2400만원을 B씨에게 입금했고, 얼마 지나지 않아 B씨와의 연락은 두절됐다. A씨는 B씨가 보여준 증권사 명함과 정부기관 문서 등을 확인하고 그를 믿었지만, 관련 서류부터 환불 명목으로 받은 가상자산까지 모두 가짜였다.
투자 손실을 보상해주겠다거나 가상자산을 무료로 지급하겠다는 등의 감언이설로 투자금을 편취하는 수법에 피해자들이 속수무책으로 당하고 있다. 이와 관련해 금융감독원은 10일 소비자경보 ‘주의’ 단계를 발령하고 가상자산 투자사기 단골 멘트를 숙지해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가상자산 투자사기 제보는 올해 1월 66건에서 6월 105건으로 59.1% 늘었다. 최근 가상자산 가격이 급등하고 투자자들이 늘어나면서 이와 관련한 투자사기도 성행하는 것으로 보인다.
금감원은 △투자 손실을 보상해주겠다 △개인정보 유출 피해 보상금을 준다 △금감원 등 정부기관의 손실 보상 권고·명령을 받았다 △손실 보상금(또는 환불금)은 가상자산이나 비상장주식으로 선지급된다 △가상자산 무료 지급을 위해 거래소 사이트 가입이 필요하다 등의 발언은 투자사기범들의 단골 멘트라고 강조했다.
특히 가짜 가상자산거래소 가입을 유도한 뒤 손실 보상금(환불금)이 가상자산으로 지급된 것처럼 화면을 조작하는 수법이 횡행하고 있다. 피해자가 현금화를 요청하면 일정기간 가상자산 매매가 금지되는 ‘락업 기간’이 지나야 출금할 수 있다며 시간을 끄는 등의 수법이다.
예정된 수량보다 더 많은 가상자산이 지급됐다거나 추가 구매 시 가상자산을 원가로 살 수 있다는 말도 믿으면 안 된다. 아울러 불법 가상자산 사기 패해가 의심되면 문자메시지나 입금내역 등 증빙자료를 확보해 경찰이나 금감원에 신고·제보해야 한다.
금감원 관계자는 “정부기관 명의의 문서를 제시하거나 금융기관 직원이라며 명함 등을 제시해도 반드시 사실관계를 확인해야 한다”며 “갖가지 명목으로 가상자산을 선지급한다며 거래소 가입을 유도하면 사기일 가능성이 크다”고 강조했다.
투자 손실을 보상해주겠다거나 가상자산을 무료로 지급하겠다는 등의 감언이설로 투자금을 편취하는 수법에 피해자들이 속수무책으로 당하고 있다. 이와 관련해 금융감독원은 10일 소비자경보 ‘주의’ 단계를 발령하고 가상자산 투자사기 단골 멘트를 숙지해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가상자산 투자사기 제보는 올해 1월 66건에서 6월 105건으로 59.1% 늘었다. 최근 가상자산 가격이 급등하고 투자자들이 늘어나면서 이와 관련한 투자사기도 성행하는 것으로 보인다.
금감원은 △투자 손실을 보상해주겠다 △개인정보 유출 피해 보상금을 준다 △금감원 등 정부기관의 손실 보상 권고·명령을 받았다 △손실 보상금(또는 환불금)은 가상자산이나 비상장주식으로 선지급된다 △가상자산 무료 지급을 위해 거래소 사이트 가입이 필요하다 등의 발언은 투자사기범들의 단골 멘트라고 강조했다.
예정된 수량보다 더 많은 가상자산이 지급됐다거나 추가 구매 시 가상자산을 원가로 살 수 있다는 말도 믿으면 안 된다. 아울러 불법 가상자산 사기 패해가 의심되면 문자메시지나 입금내역 등 증빙자료를 확보해 경찰이나 금감원에 신고·제보해야 한다.
금감원 관계자는 “정부기관 명의의 문서를 제시하거나 금융기관 직원이라며 명함 등을 제시해도 반드시 사실관계를 확인해야 한다”며 “갖가지 명목으로 가상자산을 선지급한다며 거래소 가입을 유도하면 사기일 가능성이 크다”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