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대통령 "60주년 맞은 한·일 관계, 과거 직시하되 미래로 나가야"

  • "협력확대가 대일외교 원칙…셔틀외교 복원할 것"

이재명 대통령과 김혜경 여사가 일본·미국 방문을 위해 23일 성남 서울공항을 출발하며 공군 1호기에 올라 인사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이재명 대통령과 김혜경 여사가 일본·미국 방문을 위해 23일 성남 서울공항을 출발하며 공군 1호기에 올라 인사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이재명 대통령이 23일 취임 후 처음으로 일본을 방문하기에 앞서 현지 언론과 인터뷰에서 "과거를 직시하되 미래로 나아가자"며 양국 간 협력 확대를 제안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오전 일본으로 출국하기 전 공개된 일본 아사히·마이니치·닛케이·산케이신문과의 공동 서면 인터뷰에서 "양국 간 협력을 확대해나가자는 것이 저의 신념이자 우리 정부의 대일 외교 원칙"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이 대통령은 한일 수교가 올해 60주년으로 '60갑자'의 한 주기를 돌았다는 점을 언급하며 "한일 관계에는 대립의 측면과 협력의 측면, 공존하면서 용인하는 측면이 동시에 존재한다"며 "서로에게 유익한 바를 최대한 찾아내는 게 중요하다. 어떤 나쁜 측면 때문에 유익한 면을 포기할 필요는 없다"고 말했다.

이어 "이번 방일이 미래지향적 협력의 발판을 공고히 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며 "이시바 시게루 총리님과 함께 역내 평화와 안정 유지, 안보, 경제 등 여러 분야의 공조 방안에 대해 허심탄회하게 의견을 교환하겠다"고 밝혔다.

민감한 주제인 '과거사 문제'에 관련해서는 "진실과 감정의 문제이기 때문에 사실을 인정하고 사과하며 진심으로 위로하는 과정이 훨씬 더 중요하다"며 "장기적인 시각에서 더 근본적인 문제의식을 가지고 인간적인 깊은 고려 속에서 이 문제를 논의하면 좋겠다"고 했다.

그러면서도 "문제에 너무 매몰되어서는 안 된다"며 "현실을 인정하고 서로 존중하고, 서로에게 도움되는 일은 최대한 극대화하는 방향으로 나아갈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일본산 수산물 금지 조치 해제 문제에 관해서는 "우리 국민의 일본 수산물에 대한 신뢰 회복이 우선"이라며 신중한 입장을 보였다.

일본의 관심 사안인 '납북 피해자 문제'에 대한 입장을 묻는 말에는 "깊이 공감하고 있다. 인도주의 차원에서 꼭 해결되어야 할 사안"이라며 "북한과 관련된 다양한 의제를 논의하기 위해서라도 대화 복원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답했다.

이 대통령은 일본과 '셔틀외교' 복원을 출발점으로 교류 확대를 추진하겠다고 하면서 "통상환경 변화에 대응해 양자 채널뿐 아니라 한미일, 한일중, '아세안(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3', 인도·태평양 경제 프레임워크(IPEF) 등 다자 및 소다자 채널도 적극 활용해 나갈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동아시아를 포함한 태평양 연안국의 경제협력기구를 확고하게 만들어 나가는 일도 이제는 진지하게 논의해야 할 때가 됐다"는 말도 덧붙였다. 

이번 정상회담을 앞두고 일각에서는 한국의 포괄적·점진적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CPTPP) 가입 여부가 의제로 다뤄질 가능성도 거론되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