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 광명시가 27일 도시 모든 공간을 정원으로 만드는 ‘정원도시 광명’ 실현을 위한 5개년 계획을 본격 가동키로 하고 브리핑을 해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이날 김원곤 도시주택국장은 시청 중회의실에서 시민과 함께 만드는 정원도시 광명을 주제로 정책 기자 브리핑을 열고, 주요 시정 청사진을 제시했다.
김원곤 국장은 "광명시 정원도시 정책이 ‘도시 미관 향상’이라는 수동적 시각을 넘어 시민 삶의 방식과 도시의 지속가능성을 변화시키는 거대한 도전”이라면서 “체계적인 로드맵으로 시민이 직접 참여하고, 소통·향유할 수 있는 시민 주도의 정원도시를 실현해 나가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김 국장에 따르면, 그간 광명시는 정원이 건강, 복지, 교육, 문화, 기후 대응을 아우르는 새로운 생활 인프라가 될 수 있도록 조례 개정, 비전 선포, 시민주도 정원문화 확산 등 다양한 기반 마련에 힘써왔다.
이런 기반을 토대로 도시의 모든 공간이 정원이 되고, 시민의 삶과 함께 숨 쉬는 정원도시를 실현하기 위해 2025∼2029년까지 5개년 계획을 가동한다는 게 김 국장의 설명이다.
5개년 계획은 안양천 지방정원 조성을 비롯, 4대 산 산림형 시민정원 조성, 키즈가든 조성·놀이정원사 양성, 시민정원사 양성 등 6대 중점 과제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광명시 정원도시 실현의 시작은 광명 동쪽을 지나는 안양천의 지방정원 조성이다.
현재 안양천이 흐르는 광명, 안양, 군포, 의왕시 등 4개 지자체가 안양천을 소통과 쉼, 문화와 자연이 공존하는 지방정원으로 조성하기 위해 2023년 12월 협약을 시작으로 협력하고 있으며, 이미 지난 3월 기본·실시설계를 마친 후 광명 구간 일부 시범 사업을 추진증이다.
도시 동쪽 정원이 안양천이라면, 도시 중앙 정원은 광명시 남북을 가로지르는 도덕산, 구름산, 가학산, 서독산 등 4대 산이 해당된다.
김 국장은 "이런 4대 산을 활용해 시민 생활 속에 함께 숨 쉬는 산림형 시민정원을 조성하겠다"고 귀띔한다.
생활권 가까이 위치한 산림을 자연형 정원으로 정비, 도심과 숲을 잇는 치유·원예 공간을 시민들에게 제공하겠다는 것으로 해석된다.
또 정원문화의 미래 세대인 어린이들이 안전하게 뛰놀고 자연을 배우는 공간인 ‘키즈가든’을 조성해 정원을 생태 감수성과 상상력을 키우는 놀이 기반 교육 공간으로 확장해 나갈 방침이다.
김 국장은 "시민 주도 정원도시 실현을 위해 시민정원사 양성을 확대하고, 고령층을 위한 맞춤형 정원 조성과 일자리 창출에도 박차를 가하겠다"고 말한다.
저강도 순환근무 방식의 시니어 맞춤형 정원 일자리를 운영해 어르신들이 무리 없이 참여하며, 보람을 느낄 수 있는 새로운 일자리 모델 창출에 주력하겠다는 의미다.

이와 함께 정원도시 실현 과정에 기업의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가치를 결합해 추진력도 강화하고 있다.
김 국장은 "정원도시를 향한 5개년 계획의 추진 로드맵으로, 올해 정원도시로 나아가는 광명시 비전 ‘삶이 예술이 되는 곳, 정원도시 광명’을 공식 선포했고, 안양천 지방정원 조성을 위한 첫 단계로 안양천 찬빛광장에서 햇무리 육교 앞 징검다리 구간까지 시범 공사도 시작했다"고 강조했다.
오는 2026년에는 시민참여 프로그램을 확대하고, 안양천 지방정원 조성을 위한 본격적인 공사에 들어가게 돼 안양천이 국가정원으로 나아가는 기반을 다지게 될 것이라는 입장도 전했다.
2027년에는 안양천 지방정원 등록을 본격 추진해 제도적 기반을 확립하고, 시민이 일상에서 정원의 가치를 체감할 수 있도록 내실 있게 정원을 운영, 지방정원의 기능과 품격도 높여 나갈 계획이다.
한편 김 국장은 "오는 2029년에는 5개년에 걸친 정원도시 정책의 성과를 종합적으로 평가하고, 국가정원 지정을 위한 지방정원 품질평가에 대응해 지속가능한 정원도시로 도약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