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관세에 반도체 등 수출 불확실성 확대… 9월 BSI 부진"

  • 2022년 4월 이후 3년6개월 연속 부진

  • 제조업·비제조업 2개월 연속 동반 악화

사진한경협
[사진=한경협]
한국경제인협회는 매출액 기준 600대 기업을 대상으로 기업경기실사지수(BSI)를 조사한 결과 올해 9월 BSI 전망치는 기준선 100을 하회한 93.2을 기록했다고 29일 밝혔다.

BSI는 2022년 4월(99.1)부터 3년6개월 연속 기준선 100을 하회하고 있다. 8월 BSI 실적치는 92.0로 조사됐다. 2022년 2월(91.5)부터 3년7개월 연속 부진으로 나타나 기업들의 실적 악화가 장기화되는 모습이다.

업종별로는 제조업(92.6)과 비제조업(93.8)의 2개월 연속 동반 부진이 이어졌다. 제조업 BSI(92.6)는 2024년 4월부터 1년6개월 연속, 비제조업 BSI(93.8)는 지난달에 이어 부진했다.

제조업 세부 업종(10개) 중에서는 호조 전망을 보인 △의약품(125.0)과 △식음료 및 담배(106.3) △자동차 및 기타 운송장비(103.0)를 제외한 △비금속 소재 및 제품(66.7) 등 나머지 7개 업종에서 부진이 전망됐다.

한경협은 제조업 심리부진이 지속되는 이유로 대외 통상 리스크와 건설경기 침체 장기화에 따른 시멘트 등 원자재 수요 위축을 꼽았다.

실제 반도체가 포함된 전자 및 통신장비는 관세 불확실성 우려로 전월 대비 16.4포인트 하락하면서 기준선을 하회했다. 미국 품목별 관세가 적용되는 금속 및 금속가공 제품도 3개월 연속 80대의 부진한 심리를 이어가고 있다.

건설 원자재 제조와 관련해 시멘트 제조업이 포함된 비금속 소재 및 제품(66.7)이 5개월 연속 80 이하의 부진한 전망을 이어가고 있다.

비제조업 세부 업종(7개) 중에는 △여가·숙박 및 외식(107.7) △전문, 과학·기술 및 사업지원서비스(106.7)가 호조 전망을 보였다. 기준선 100에 걸친 △도소매(100.0) △정보통신(100.0)을 제외한 나머지 3개 업종은 부진이 전망된다. 한경협은 2022년 10월 이후 3년 연속 부진이 지속되는 건설(83.7), 계절적 수요 감소가 예상되는 전기·가스·수도(73.7)를 중심으로 기업 심리가 악화됐다고 밝혔다.

9월 조사 부문별 BSI는 모두 부정적으로 전망됐다. 내수(91.7)·수출(92.6)·투자(90.6)는 2024년 7월 이후 1년3개월 연속 동반 부진이 이어졌다.

이상호 한경협 경제산업본부장은 "우리 경제는 반도체 등 주요 수출품의 통상 불확실성 확대와 건설경기 침체 등 내수 부진의 이중고를 겪고 있다"며 "정부와 경제계가 원팀이 돼 급변하는 국제정세에 선제적으로 대처하고, 건설과 인프라 투자를 늘려 내수 경기를 부양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