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도, 지천댐 건설 당초 계획대로 추진 요청…"충남 미래 100년 대비"

  • 청양·부여군 용수 부족 해소·홍수 방어 효과 기대…주민 지원 1000억 원 투입, 이주단지·관광자원화 등 종합대책 마련

사진충남도
박정주 충남도 행정부지사, 29일 지천댐 후보지를 방문한 김성환 환경부 장관 모습[사진=충남도]


충남도가 환경부에 지천 기후대응댐 건설을 당초 계획대로 추진해 줄 것을 공식 요청했다.

박정주 충남도 행정부지사는 29일 지천댐 후보지를 방문한 김성환 환경부 장관에게 “대한민국과 충남의 미래 100년을 위해 지천댐 건설은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박 부지사는 이어 “대통령께서도 인공지능(AI), 반도체 등 미래 첨단기술 산업에 대한 투자를 아끼지 않겠다고 하셨다”며 “첨단산업은 많은 물과 에너지를 필요로 하는 만큼 안정적인 용수 공급이 국가 경쟁력과 직결된다”고 말했다.

충남은 현재 산업과 생활용수의 대부분을 타 지역에 위치한 대청댐에 의존하고 있다.

실제 청양군은 하루 생활용수 1만㎥ 가운데 6000㎥(60%)를 보령댐에서, 2000㎥(20%)를 대청댐에서 조달하고 있으며, 부여군은 전량(2만9000㎥)을 대청댐에 의존하고 있다. 이로 인해 2015년 9월에는 청양군 등 8개 시군에 제한급수가 실시됐고, 2017년, 2018년, 2020년, 2022년에는 부여군 42개 지역에서 운반급수가 시행되는 등 물 부족 문제가 반복적으로 나타났다.

박정주 부지사는 “충남은 국가 첨단산업의 핵심 거점이자 무역수지 전국 1위 지역임에도 용수 공급의 불균형이 심각하다”며 “지천댐 건설은 산업 안정과 지역 주민 삶의 질 향상 모두에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주민 지원 계획도 구체적으로 마련됐다.

도는 정부 지원 외 1000억 원을 별도로 투입해 지천댐 주변 종합지원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주요 내용은 △이주 정착금 지원 △리브투게더 연계 이주단지 조성 △도로, 생활 인프라 및 관광 자원 확충 △친수공간을 활용한 지역 경제 활성화 등이다. 박 부지사는 “청양·부여군의 숙원 사업과 주민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다양한 사업을 추가로 지원할 것”이라며 “지역 공동체를 보존하고, 외지 주민과 관광객이 찾는 활력 있는 지역으로 만들겠다”고 밝혔다.

수자원공사 관계자는 “청양·부여군은 극한 호우로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된 바 있으며, 지천댐이 건설되면 홍수량의 39%를 분담해 홍수 방어에도 기여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김성환 환경부 장관은 “지천댐 건설 시 물 부족 문제와 폭우로 인한 피해를 저감할 수 있는 효과를 정밀하게 검토하겠다”며 “국민 모두가 공감할 수 있는 합리적인 방안을 찾겠다”고 답했다.

한편 이날 행사에는 박정주 행정부지사와 김성환 장관을 비롯해 송호석 금강유역환경청장, 김돈곤 청양군수, 지역 주민 등이 참석했다. 행사는 △도의 댐 필요성 설명 △수자원공사의 댐 후보지 검토 현황 발표 △지역 주민 의견 수렴 순으로 진행됐다.

충남도는 앞으로도 환경부와 긴밀히 협력하며, 지천댐 건설이 산업 안정, 주민 생활, 지역 경제 활성화에 모두 기여할 수 있도록 추진할 계획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