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정통부, 기초연구 과제 1만5800개 지원…기본연구 복원·복귀 트랙 신설

  • 기초연구 과제 확대·기본연구 복원

  • 세종과학펠로우십 복귀 트랙 신설

사진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사진=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내년도 기초연구사업과 과제를 전년 대비 대폭 확대한다. 일부 과제는 기존에 폐지됐던 기본 연구로 다시 복원된다. 아울러 세종과학펠로우십 복귀 트랙도 260억원 규모로 신설된다.

1일 과기정통부에 따르면 2026년도 기초연구사업 예산은 전년(2조3400억원)보다 17.2% 증가한 2조7400억원으로 책정됐다. 과제 수도 1만5800여 개로 전년보다 28.5% 확대된다. 이 중 신규 과제는 7000여개로 2025년 대비 98.2% 증가했다.

복원되는 기본연구 사업에는 약 1150억 원을 투입해 초기 교원이나 지방 소재 교원 등 연구 환경이 열악한 연구자들을 지원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연구 불안정성을 완화하고 안정적인 연구 안전망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국외에서 활동 중인 박사후연구원의 국내 복귀를 유도하기 위해 세종과학펠로우십에 복귀 트랙을 신설한다. 약 260억 원 규모로 130명 내외를 지원할 예정이며, 이를 통해 펠로우십 지원의 ‘국내-국외-복귀’ 전 과정을 연계하는 구조를 완성한다.

지원체계 개편도 추진된다. 기존 ‘중견연구’ 사업은 ‘핵심연구’로 명칭을 바꾸고 연구 성장 단계에 따라 연구비와 기간을 차등 지원한다. 동시에 창의연구, 씨앗연구 등 복잡했던 사업 구조를 단순화해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 유형에 맞는 사업을 보다 쉽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집단연구 지원도 강화된다. 기초연구실(BRL) 신규 과제 수를 2025년 111개에서 2026년 132개로 확대하고, 대학 부설연구소를 세계 최고 수준으로 육성하기 위한 국가연구소(NRL2.0) 사업도 신규 4개를 추가 선정한다.

아울러 AI 융합 연구도 새롭게 지원된다. 기초연구기반구축사업 내에 ‘AI·디지털 기반 대학 연구혁신’ 과제를 신설해 대학 연구 인프라 첨단화와 기초과학-인공지능 융합형 인재 양성을 뒷받침할 예정이다.

구혁채 과기정통부 제1차관은 “2026년도 기초연구 예산은 단순한 복원을 넘어 재도약을 위한 출발점”이라며 “젊은 연구자들이 안정적으로 연구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우수 연구자가 지속 성장할 수 있도록 든든히 뒷받침하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