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장군이 드론을 활용한 새로운 폭염 대응 기술로 농가 피해를 줄이는 데 성공했다.
기장군농업기술센터는 최근 '드론 활용 시설하우스 차광도포제 살포 시범사업 평가회'를 열고, 사업 성과를 공유하며 스마트 농업기술 확산에 박차를 가하겠다고 4일 밝혔다.
지난 1일 열린 평가회에는 기장드론영농단과 관내 화훼농가가 참석해 올여름 진행된 드론 활용 차광도포제 살포 사업의 성과와 추진 과정을 함께 나눴다.
차광도포제는 시설하우스 지붕에 도포해 내부 온도를 낮추고 강한 햇빛을 차단함으로써 고온기 작물의 생육 환경을 개선하는 기술이다. 그러나 기존에는 살포 시기나 농도 등 표준화된 기준이 부족해 농가에서 적용에 어려움을 겪었다.
이에 기장군은 지난해부터 드론을 활용한 시범사업을 추진, 올해는 살포 면적과 참여 농가를 대폭 확대했다.
지난 5월과 7월 두 차례에 걸쳐 총 8만 9000㎡ 면적에 차광도포제를 살포했으며, 지역 청년 농업인으로 구성된 드론영농단이 직접 투입돼 균일하고 신속한 작업을 완료했다.
사업 참여 농가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 시설 내부 온도가 평균 2~4℃가량 낮아지는 효과가 확인됐다.
이는 폭염이 장기간 지속되는 기상 여건에서 고온기 작물 피해를 예방하는 데 큰 도움이 된 것으로 평가된다.
또한, 드론을 활용함으로써 노동력 절감 측면에서도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평가회에서는 원활한 사업 추진을 위한 심도 깊은 논의도 이어졌다.
다양한 재배 품목과 빛 요구도를 고려한 맞춤형 기준 마련의 필요성이 제기됐으며, 갑작스러운 기상 변화에 대비한 관리 방안, 희석 비율 및 차광률에 따른 효과 분석 등 현장 데이터를 바탕으로 한 세부적인 연구가 주요 과제로 꼽혔다.
정종복 기장군수는 “드론 활용 차광도포제 살포는 농가의 안전과 노동력을 절감하면서 폭염으로 인한 피해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적인 기술”이라며, “앞으로 현장 의견을 적극 반영해 사업을 확대하고, 지속 가능한 농업 환경을 만들어 나가겠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