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7일 정치권에 따르면 장 대표는 이날 오후 국회에서 지도부 회의를 열어 이 대통령과의 회동에 올릴 주요 의제를 논의했다. 그는 회동 당일까지도 당내 의견 수렴을 통해 최종 점검에 나설 계획이다.
최보윤 국민의힘 수석대변인은 이날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영수회담과 관련해 원내 의견을 청취하는 시간을 가질 것"이라며 "내일 최고위원회의가 있다. 사전미팅을 1시간 정도 앞당겨 최고위원 의견을 듣고 종합 검토해 최종적으로 영수회담 내용이 결정될 예정"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사법부 관련 내란특별재판부라든지 여러 현안과 그 외 사건들도 포함될 것으로 보이고, (미국의 한국인) 구금 관련 내용도 일부 포함될 가능성이 있다"고 덧붙였다.
박준태 당대표 비서실장은 지난 5일 "지금 민주당이 일방적으로 통과시키고 있는 많은 법안이 대통령실과의 긴밀한 조율하에 이뤄지고 있는지 의문"이라며 "상법 개정 후 '더 센 상법'을 추가 개정한다든지, '더 센 특검법'을 통과시키고 내란특별재판부를 설치한다든지 이런 부분은 민주당과 대통령실에 의견 차이가 있어 보여 대통령 생각에 대해 설명을 요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장 대표는 이 대통령에게 여야 협치를 위한 역할을 당부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는 5일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국회가 특검법이나 특별재판부 설치 같은 법안들로 교착 상태에 막혀 있는데, 이 문제를 풀 수 있는 것은 대통령"이라며 "대화와 협치의 물꼬를 틀 수 있는 것은 대통령"이라고 강조했다. 이에 따라 '여·야·정 국정협의체'를 포함한 협치 방안을 제안할 가능성이 제기된다.
장 대표가 이 대통령의 역할론을 부각하는 이유는 민주당을 저지할 수단이 부족할 뿐 아니라 협치의 책임을 이 대통령에게 돌릴 수 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이 대통령이 법안 속도 조절과 같은 야당의 요구를 거절할 경우 빈손 회동에 대한 비판을 이 대통령에게 돌릴 수 있기 때문이다. 아울러 강성 지지층을 결집하는 효과도 일으킬 수 있다.
앞서 장 대표는 이 대통령과의 단독 회동을 지속해서 요구해 왔다. 대통령실이 장 대표 요구를 수용해 8일 이 대통령과 정청래 민주당 대표, 장 대표의 오찬 회동 이후 장 대표와 단독 회동이 이뤄질 예정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