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건영 "국정원, 계엄 당일 계엄사·합수부 인력 파견 검토 확인"

  • "계엄 선포 직후 인력 파견 내용 담은 문건 확인"

  • '일방적 지시 받았다' 진술한 조태용, 거짓 드러나

더불어민주당 윤건영 의원이 8일 국회에서 123 계엄 당시 국정원 인력 파견 및 조사팀 구성 검토 확인 회견을 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 윤건영 의원이 8일 국회에서 '12.3 계엄 당시 국정원 인력 파견 및 조사팀 구성 검토 확인' 회견을 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윤건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8일 윤석열 전 대통령이 비상계엄을 선포한 당일 "국가정보원이 계엄사령부와 합동수사본부에 인력 파견 방안을 검토한 사실이 확인됐다"고 폭로했다. 특히 윤 의원은 윤 전 대통령으로부터 일방적인 지시를 받았다는 조태용 전 국정원장의 주장이 거짓으로 드러났다고 언급했다.

윤 의원은 이날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2024년 12월 3일 불법 내란 당일에 국정원이 계엄사와 합수부에 인력 파견 방안을 검토하고 조사팀 구성과 활동 계획까지 세웠던 사실이 뒤늦게 확인됐다"고 주장했다. 그는 "그동안 조 전 원장은 국무회의 참석과 윤 전 대통령의 일방적인 지시를 전달받았다고 주장한 내용도 거짓으로 드러났다"고 했다.

이어 국정원이 비상계엄 직후 실제 계엄사와 합수부 등에 협력하려 했다는 제보를 받아 다각도로 제보 내용을 검증했다며 "계엄 당일 국정원은 '비상계엄 선포 시 00국 조치 사항'이라는 제목의 문서를 생산했던 사실을 확인했다. 해당 부서는 계엄과 관련해 국정원 내 주무 부서인 곳"이라고 강조했다.

또 문서의 주요 내용이 계엄사와 합수부에 각각 연락관과 조사관을 파견하고 전시 중앙합동정보조사팀을 꾸려 주요 임무를 부여한다는 내용도 담겨 있었다고 설명했다. 해당 문건에 임시 특례법을 대통령령으로 제정해 국정원 직원의 수사가 가능하게 만드는 내용도 있었다고 부연했다. 윤 의원은 해당 문서의 작성 시점이 윤 전 대통령이 계엄을 선포하고 조 전 원장의 국무회의 참석 직후이자 홍장원 전 국정원 1차장이 '싹 다 잡아들이라'는 명령을 받은 후라며 "심지어 국정원 핵심 부서에서 기다렸다는 듯 파견 계획을 세웠다는 것은 어떻게 이해해야 하나"라고 말했다.

아울러 윤 의원은 해당 문서를 작성했던 국에서 130명이나 재출근한 것은 상당한 규모라며 국정원 역시 직원들의 재출근에 지휘부의 지시는 없었다고 지적하며 "철저하게 진상을 밝혀야 한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