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대급 폭염 이대로 가면…한은 "2050년 인플레 압력 2배 증가"

표한국은행
[표=한국은행]
기후대응 노력 없이 이대로 지구온난화가 가속화될 경우 고온충격에 따른 물가상승 압력이 2031~2050년 중 0.37~0.60%포인트, 2051~2100년 중에는 0.73~0.97%포인트로 현재(0.32~0.51%p)보다 2배가량 증가할 것이란 경고가 나왔다. 

8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극한기상 현상이 인플레이션에 미치는 영향: 지속성 평가와 비선형성 여부 판단' 보고서에 따르면 1℃ 고온충격이 국내 소비자물가 상승률에 미치는 영향은 2년 이상 지속(24개월 평균, 0.055%포인트 상승)됐으며, 10mm 강수충격 발생 시에는 15개월 이상 지속(15개월 평균, 0.033%포인트 상승)됐다.

기상충격의 영향이 단기에 그치지 않고 장기간(12개월 이상) 지속된다는 의미다. 이번 보고서는 최근 폭염, 폭우 등 극한기상 현상으로 인한 물가 불안 우려가 커지는 점을 감안해 기상충격이 국내 소비자물가 상승률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고온과 강수 충격은 각각 월별 일최고기온, 일최다강수량과 과거 월별평균 간의 차이로 추적했으며, 충격의 규모가 상위 5% 이상인 경우는 극한고온과 극한강수 충격으로 지칭했다. 

기상충격 강도가 커질수록 물가에 미치는 영향력이 비선형적으로 증가했다. 일반고온 충격 발생 시 12개월간의 물가상승 압력은 0.03%포인트 수준이었으나, 극한고온 충격 발생 시에는 0.56%포인트까지 확대됐다. 

세부 품목별로 보면 상품물가는 농·수산물을 중심으로 고온·강수 충격 모두에 뚜렷한 상승압력을 받았다. 서비스물가의 경우 고온충격에는 상승압력을, 강수충격에는 하락 압력을 받는 경향이 드러났다. 서비스의 경우 고온충격이 노동생산성 저하, 운영비 증가 등을 통해 생산비용 상승을 유발하는 반면 강수충격은 서비스 수요 감소에 더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으로 한은은 분석했다. 
 
극한기상 현상을 포함한 기상청 기후전망을 반영해 미래 물가상승률 변화를 추정해 보면 극한기상 현상 심화로 인한 물가상승 압력은 지속적으로 확대될 가능성이 크다. 
 
보고서를 작성한 연정인 한은 지속가능성장실 기후리스크분석팀 과장은  "물가상승 압력을 완화하기 위해서는 농·축·수산업 등 기후 취약 부문의 생산성 및 공급안정성을 확보하고 재난 대응 인프라 등 기후 적응 투자를 확대하는 한편 보험·금융 관련 안전장치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이어 "극한기상 현상이 일상화되는 상황에 대비하여 중장기적 시계에서 실물·금융경제, 통화정책을 운영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