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이민당국 단속에...현지 진출 식품·화장품 기업 '촉각' 운영점검 등 나서

  • 농심·CJ제일제당 "주재원 전원 정식 취업비자"

  • 한국콜마·코스맥스 "현지 인력 중심으로 운영"

  • SPC "제빵공장 착공 전부터 법규 준수할 것"

美 이민당국이 공개한 현대차-LG엔솔 이민단속 현장 
    서울연합뉴스 미국 이민 단속 당국이 지난 4일현지시간 조지아주 현대차그룹-LG에너지솔루션의 합작 배터리 공장 건설현장에서 벌인 불법체류·고용 단속 현장 영상과 사진을 홈페이지를 통해 공개했다 202596 ICE 홈페이지 영상 캡쳐 재판매 및 DB 금지
    photoynacokr2025-09-06 201506
저작권자 ⓒ ㈜연합뉴스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 AI 학습 및 활용 금지저작권자 ⓒ ㈜연합뉴스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 AI 학습 및 활용 금지
美 이민당국이 공개한 현대차-LG엔솔 이민단속 현장 [사진=연합뉴스]

미국 조지아주 현대차그룹과 LG에너지솔루션 합작 배터리 공장에서 한국인 근로자 300여명이 이민당국 단속에 적발돼 체포·구금되자 현지 공장을 운영하는 국내 식품 및 화장품 업체 등이 비자 확인 등 관리 강화에 나섰다. 기업들은 이번 사태가 자사에 직접적인 영향은 없다고 선을 그으면서도 미국 출장이나 파견 인력 운영을 두고 재확인하는 등 예의주시하는 분위기다.

농심 관계자는 8일 "농심의 미국 공장 인력은 현지인으로 구성돼 있고, 한국에서 파견된 주재원들은 모두 E2(투자), L1(주재원) 등 정식 취업 비자를 보유해 문제가 없다"고 말했다. 농심은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 소재 1·2공장에서 라면과 스낵을 생산하고 있다.

CJ제일제당 역시 별다른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다. CJ제일제당은 캘리포니아 풀러턴, 뉴욕 브루클린을 포함해 미국 전역에 약 20개 생산시설을 갖추고 있다. 회사 관계자는 "지난 2019년 인수한 미국 냉동식품 기업 슈완스를 통해 운영되는 현지 생산시설 인력은 대부분 현지인"이라며 "한국에서 파견된 주재원들도 정식 비자를 발급받아 근무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미국 캘리포니아 랜초 쿠카몽가에 있는 농심 제2공장 전경 사진농심
미국 캘리포니아 랜초 쿠카몽가에 있는 농심 제2공장 전경 [사진=농심]

펜실베니아와 뉴저지에 각각 공장과 기술영업센터를 운영하는 한국콜마도 점검에 들어갔다. 한국콜마 관계자는 "한국 근로자 체포 소식을 접한 뒤 곧바로 현지 상황을 확인했으나 문제는 발견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뉴저지에 생산 거점을 두고 있는 코스맥스도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텍사스주에 오는 2027년 제빵공장을 세울 예정인 SPC그룹은 미국에 아직 인력을 파견하지 않은 상태다. SPC 관계자는 "현재는 공사 전 단계라 파견 인력이 없고, 향후 착공이 진행돼도 현지 법규를 철저히 준수해 운영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다만 이번 사태로 LG에너지솔루션이 미국 출장을 전면 중단했고, 현대차도 필수적인 경우를 제외하고는 미국 출장 보류 방침을 내린 만큼 미국 진출 기업들은 비자 요건을 재차 확인하고 있다. 미국에 진출한 유통관련 업체 한 관계자는 "이번 일을 계기로 현지 파견 인력과 비자 요건을 점검했다"며 "다만 식품·패션·뷰티 업계는 ESTA나 단기 상용비자로 근무하는 경우가 많지 않아 이번 사태와 직접적인 연관성은 크지 않다"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