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셜미디어 차단에 나라가 '발칵'…네팔 반정부 시위 격화

  • 대통령 관저·정부 청사 등 방화…전직 총리 부인 화상 입고 사망

  • 올리 총리 사퇴에도 들끓는 민심…시위확산에 국제사회 우려 표명

9일현지시간 네팔 카트만두에 있는 정부의 주요 행정 건물인 싱하 두르바르에서 화재가 발생했다 사진AFP·연합뉴스
9일(현지시간) 네팔 카트만두에 있는 정부의 주요 행정 건물인 싱하 두르바르에서 화재가 발생했다. [사진=AFP·연합뉴스]

네팔에서 소셜미디어 접속 차단과 부패에 격분해 시작된 반정부 시위가 격화하며 유혈 사태가 벌어졌다.
 
현지 경찰의 발포로 19명이 숨진 가운데 시위대는 대통령 관저와 정부 청사 등에 불을 냈고 화상을 입은 전직 총리의 아내가 숨지는 사태까지 발생했다.
 
이에 총리가 사임하고 정부가 소셜미디어 접속을 다시 허용했지만 들끓는 민심은 좀처럼 가라앉지 않는 모양새다.
 
9일(현지시간) AP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전날 네팔 수도 카트만두에서 정부의 유튜브 등 소셜미디어 접속 차단에 항의하기 위해 거리로 나선 시위대에 경찰이 발포해 19명이 사망했다.
 
시위 사망자가 속출하자 네팔 정부는 9일 소셜미디어 차단 조치를 전격 철회했다. 시위 확산에 대한 책임을 지고 카다가 프라사드 샤르마 올리 총리도 사임했다.
 
네팔 정부가 수습에 적극 나서고 있지만 정부의 부정부패와 무능에 대한 반발이 커 시위가 확산되는 양상이다.
 
네팔 시위대는 이날 정부 청사와 정치인들의 자택에 방화를 저질렀다. 시위대의 방화로 잘라나트 카날 전 총리의 아내가 자택에서 숨을 거뒀다고 뉴스위크가 현지 언론을 인용해 보도했다.
 
이날 오후 늦게 네팔 경찰청 본부 건물에서는 총격 사건도 발생했으며 정부 부처가 밀집한 행정 단지에서도 불이 난 것으로 전해졌다. 앞서 시위대는 의회의사당을 비롯해 대법원과 검찰청 등에도 불을 질렀다.
 
이들은 검찰총장 집무실과 카트만두 지방법원을 공격했고 사건 기록 서류를 꺼내 불에 태운 것으로 알려졌다.
 
시위대는 대통령 관저에도 침입해 불을 질렀고 네팔군은 람 찬드라 포우델 대통령을 헬기에 태워 군사 훈련 센터로 대피시켰다.
 
AP통신은 이날 올리 총리가 사임했으나 소요 사태에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고 짚었다.
 
의원내각제인 네팔에서는 총리가 행정 수반으로 실권을 갖고 대통령은 의전상 국가 원수직을 수행한다.
 
앞서 네팔 정부는 지난 5일부터 유튜브, 인스타그램, 페이스북, X(옛 트위터) 등 주요 소셜미디어의 접속을 막았다. 당국의 새로운 등록 조치에 따르지 않았다는 이유에서였다.
 
이에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정부가 여론을 통제하려고 한다는 비판이 확산했다. 결국 정부의 부패를 척결하고 언론 자유를 보장하라는 반정부 시위가 일어났다.
 
시위는 카트만두뿐만 아니라 다른 도시로도 확산했다. 소셜미디어에서는 사치품과 호화로운 휴가 생활을 과시하는 고위층 자녀들의 모습과 생활고에 시달리는 이들을 대조하는 영상이 빠르게 공유됐다.
 
시위대가 교도소를 급습하는 사건도 일어났다. 전날 네팔 시위대는 중부 간다키주 포카라에 있는 카스키 교도소를 습격했다고 스페인 EFE 통신 등이 보도했다.
 
이들은 교도소 건물 일부를 파괴했고, 수감자 900명가량이 탈옥할 수 있도록 도운 것으로 전해졌다.
 
네팔 서부 수두르파스침주에 있는 카일라리 교도소와 중부 바그마티주 랄리트푸르에 있는 교도소에서도 방화가 발생했다.
 
경찰은 전날부터 최루탄을 비롯해 물대포와 고무탄을 쏘며 진압을 시도했고, 이날까지 22명이 숨지고 500명 넘게 다쳤다.
 
국제 사회도 과격해지는 네팔 시위대를 향해 우려의 뜻을 표명했다.
 
스테판 두자릭 유엔 사무총장 대변인은 안토니우 구테흐스 사무총장이 추가 폭력 사태를 피하기 위해 시위대에 자제를 촉구하고 대화를 촉구했다고 전했다.
 
이웃 나라 인도의 나렌드라 모디 총리도 X에 “네팔에서 발생한 폭력은 가슴 아픈 일”이라며 “네팔의 모든 형제자매에게 평화를 지지해 달라고 간곡히 호소한다”고 썼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