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 의원은 이날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에 “김병기 원내대표께서 협치를 위해 노력한 것은 평가하지만 논의 중인 사안으로 모든 합의는 의총의 인준을 받아야 효력이 발생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파기가 아니라 의원총회 인준이 불투명하기에 김 원내대표께서 내린 단안(斷案, 옳고 그름을 판단함)을 지지한다”고 했다.
지난 10일 김병기 민주당 원내대표는 국민의힘을 방문해 송언석 원내대표와 만나 '특검 수사 기간 연장 취소'와 '수사 인력 10명 감소' 등의 3대(내란·김건희·순직해병) 특검법 합의안을 도출했다고 발표해 논란이 됐다.
이에 정청래 민주당 대표는 11일 오전 “협상안을 수용할 수 없다”며 “지도부 뜻과도 달라 바로 재협상을 지시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김병기) 원내대표도 고생을 많이 했지만, 우리 지도부 뜻과는 많이 다른 것이어서 어제 많이 당황했다"며 설명했다.
아울러 정 대표는 가장 문제가 된 3대 특검 수사 기간을 추가로 연장하지 않고 인력 증원도 최소화한 합의를 놓고 "특검법 개정안의 핵심인 기간을 연장 안 하는 쪽으로 협상한 것은 특검법의 원래 취지와 정면 배치돼 (재협상을) 지시한 것이다"이라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