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 "입시제도보다 경쟁과잉이 문제…AI교육 전면 시행해야"

이재명 대통령이 11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취임 100일 기자회견 회복을 위한 100일 미래를 위한 성장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대통령실통신사진기자단
이재명 대통령이 11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취임 100일 기자회견 '회복을 위한 100일, 미래를 위한 성장'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대통령실통신사진기자단]

이재명 대통령이 11일 교육 분야와 관련해 “현재와 같은 최악의 경쟁상태를 해결하지 않으면 입시 문제는 영원히 해결 안 된다”고 밝혔다.

이 대통령은 이날 열린 취임 100일 기자회견에서 “우리가 대량생산 사회에 맞는 교육을 꽤 오랫동안 잘 해왔지만 이제는 한계에 도달했다”며 “개성과 창의성이 중요한 시대가 됐는데 교육 현장이 그에 맞게 변화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정시냐 수시냐 하는 논란은 결국 같은 문제의 반복일 뿐”이라며 “입시 정책은 바꾸면 바꿔서 난리, 안 바꾸면 안 바꿔서 난리인데, 본질적으로는 경쟁 과잉 상태가 문제”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교육 공간, 교수 인력, 재정, 프로그램 문제 등이 발목을 잡고 있다”며 “이제는 교육 철학과 구조 자체를 바꿀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근본적 해결책이나 방향 전환을 교육위원회에서 논의하면 좋겠다. 저는 교육 전문가는 아니기 때문에 구체적 답을 내기는 어렵다”고 말했다.

교육 혁신 과제로는 인공지능(AI) 교육을 꼽았다. 이 대통령은 “인공지능 관련 교육을 전면적으로 시행하고, 국민들에게 AI 적응·활용 능력을 키우자”며 “아주 저학년부터 본격적으로 시작해 수학의 기본 연산을 배우듯 일상 삶의 기본으로 삼아야 한다”고 했다.

교육 재정 배분과 관련해 “고등교육 재원이 부족한 현실 속에서 초중등교육과의 배분 문제를 다시 논의해야 한다”며 “관련 논란을 정리해 가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 대통령은 “교육 문제에 대해서는 일부러 전면적으로 말하지 않는 측면이 있다. 논쟁만 촉발되거나 이념 대립으로 번질 우려가 있기 때문”이라며 “오늘 뚜렷한 답을 드리지 못해 죄송하다. 교육 문제는 별도 토론 기회를 갖겠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