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3일 열린 추도식에 일본 정부 대표로 참석한 오카노 유키코 외무성 국제문화교류심의관은 일제강점기 조선인들이 열악한 환경에서 노동했다는 점은 언급했으나, 강제성에 대해서는 침묵했다. 그는 “돌아가신 모든 분께 진심으로 애도의 뜻을 표한다”고 밝혔지만, 가혹한 동원의 실체를 직접적으로 인정하지는 않았다.
이날 추도 발언은 지난해 11월 열린 첫 추도식에서 이쿠이나 아키코 외무성 정무관이 했던 내용과 크게 다르지 않았다.
이에 대해 한일관계를 연구하는 요시자와 후미토시 니가타국제정보대 교수는 교도통신과의 인터뷰에서 “작년과 똑같은 발언은 피해자를 모욕하는 행위”라며 “감사가 아니라 사죄라는 단어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또 “추도식은 강제노동 문제를 기억하고 계승하는 의미를 지녀야 한다”며 “이를 외면한다면 행사의 취지가 무색해진다”고 비판했다.
한편, 한국 정부는 추도사에 강제노동 관련 언급이 충분히 담기지 않을 것이라 판단해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불참했다. 대신 한국은 별도의 추도식을 열어 강제동원의 아픔을 기리는 자리를 마련할 계획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