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5일 서민금융연구원이 최근 6개월간 대표 차주 기준 신용등급 5등급 이하인 저신용 180가구를 상담한 결과에 따르면 이들이 안고 있는 평균 채무액은 9500만원에 달했다. 최저 채무액은 10만원 수준이었지만 일부는 11억원을 넘어섰다. 이들 소득·지출 구조는 이미 적자였다. 월평균 소득은 254만원에 불과했지만 지출은 285만원으로 더 많았다. 가계가 애초부터 빚 없이는 생활하기 어려운 구조임을 보여준다.
채무 비중을 보면 은행이 71%로 가장 많았지만 카드·저축은행·대부업·사채까지 다양하게 분산돼 있었다. 특히 절반 이상은 친·인척과 지인에게 진 빚이었다. 다중채무 구조도 두드러졌다. 채무자 절반 이상이 2종 이상 다중채무자였으며 4종 이상 채무를 동시에 보유한 사례도 5%가량이었다. 단일 금융기관이 아닌 여러 창구에서 돈을 빌려 '돌려막기'식 생활을 이어가는 모습이다.
이 같은 저신용자에게는 단순한 금융 지원이 아니라 생활습관 변화 등 맞춤형 관리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실제로 대기업에 근무하며 안정적 소득을 올리는 A씨(42)도 월세와 상환 부담으로 생활비가 막혀 당장 긴급 자금 50만원을 마련하지 못해 서민금융연구원을 찾기도 했다.
이에 금융권 관계자는 "그래도 상담을 신청하면 의지가 있는 사람들"이라며 "의지조차 없는 저신용자들은 불법사금융에 노출될 수 있어 제도적 보완과 장기적 지원체계가 병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