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주 가문잔치와 음식문화’, ‘고창 무장읍성 칠거리 당산 용당기 놀이 발굴·육성’ 등 총 15개 사업이 '2026년 미래 무형유산 발굴·육성 사업의 지원대상으로 선정됐다고 국가유산청이 17일 밝혔다.
'미래 무형유산 발굴·육성 사업'은 각 지역의 비지정 무형유산을 대상으로 향후 국가무형유산 또는 시도무형유산으로 지정될 수 있도록 육성하거나 지역의 대표 문화자원으로 발전하도록 지원하는 사업이다. 연간 최대 2억 원(국비 1억, 지방비 1억)까지 차등 지원하며, 사업성과에 따라 최대 3년까지 지원한다.

전국 지자체를 대상으로 한 2026년도 사업 공모에는 총 12개 시·도에서 63개의 사업계획서가 접수됐다.
제주 지역의 혼례와 이에 사용된 음식 등에 대한 조사·연구를 하는 ‘제주 가문잔치와 음식문화’(제주), 고창 무장읍성 주민들에게 전승되어져 온 합굿이자 민속놀이인 ‘고창 무장읍성 칠거리 당산 용당기 놀이’(전북 고창), 조선시대의 유교 제례로서 일제강점기에도 주민들이 자발적으로 전승해온 ‘남원 사직단제’(전북 남원), 부산 지역에서 전승되고 있는 탈놀이인 ‘가락오광대’(부산 강서), 진주 지역의 유교의례와 음식문화가 융합되어져 온 ‘진주화반’(경남 진주) 등 15개 사업이 최종 선정됐다.
선정된 지자체들은 2026년 상반기부터 각 종목의 현황 조사·연구를 비롯해 학술대회, 전문가 공개 토론회(포럼), 지역 축제 등을 통해 무형유산 보전과 활성화의 필요성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를 확산시켜 나갈 예정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