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글 클라우드가 인공지능(AI) 기반 상거래 혁신을 위한 새로운 기술 규약을 내놨다.
구글 클라우드는 ‘에이전트 결제 프로토콜(AP2·Agent Payments Protocol)’을 발표하고, AI 에이전트가 사용자를 대신해 안전하고 신뢰성 있게 결제를 수행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고 17일(현지시간) 밝혔다.
기존 결제 시스템은 사용자가 직접 클릭하거나 인증을 거쳐야만 거래가 이뤄지도록 설계돼 있었다. 그러나 AP2는 이러한 구조적 한계를 넘어, AI 에이전트가 사용자의 요청을 받아 상품을 고르고 결제까지 진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 특징이다.
AP2는 특정 결제 방식에 제한을 두지 않는다. 신용카드·직불카드·실시간 계좌이체 같은 전통적인 결제 수단은 물론, 스테이블코인과 같은 웹3(Web3) 기반 암호화폐까지 지원한다. 구글은 이러한 유연성이 향후 AI 기반 상거래 생태계의 범용 표준으로 자리 잡게 하는 핵심 요소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AP2는 단독 기술이 아니라 기존 오픈소스 표준과 맞물려 작동한다. 대표적인 것이 모델 컨텍스트 프로토콜(MCP·Model Context Protocol)이다. MCP는 AI 모델이 외부 데이터나 서비스와 통신할 수 있게 해 주는 통로다.
대규모 언어 모델(LLM)은 기본적으로 학습된 데이터만 활용할 수 있어, 실시간 정보 검색이나 외부 서비스와의 상호작용에 제약이 있었다. MCP는 이 한계를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규약으로, AI가 외부 데이터 소스에 요청을 보내고, 서버가 그 결과를 AI가 이해할 수 있는 형태로 돌려주는 양방향 구조를 갖는다. 이를 통해 AI는 단순 대화 기능을 넘어 실제 서비스와 연동할 수 있게 된다.
구글 클라우드는 AP2를 통해 AI 에이전트가 결제까지 책임지는 새로운 상거래 패러다임을 열겠다는 구상이다. 사용자는 에이전트에게 특정 조건을 미리 설정해 두면, 에이전트가 상품 검색부터 결제까지 모든 과정을 대리 수행할 수 있다.
업계에서는 AP2가 상거래 분야의 새로운 표준으로 자리잡을 경우, AI가 단순한 조력자를 넘어 실제 거래의 주체로 기능하는 전환점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