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대현 문화체육관광부 제2차관은 18일 서울 영등포구 한 식당에서 기자들과 만나 체육계에서 벌어지는 각종 폭력·성폭력 문제에 대해 이렇게 말하며 불관용 의지를 나타냈다.
김 차관은 "(체육계 폭력·성폭력 문제는) 굉장히 중점을 두는 분야다. 계속해서 사회적으로 문제를 일으켰기 때문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며 "(이런 문제가 불거지면) 다른 성과를 다 까먹는다"고 말했다.
이어 "과거에는 경기 단체들이 팔이 안으로 굽는 식의 솜방망이 처벌로 끝내는 경우가 많았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스포츠윤리센터에 징계 심의 요구 권한을 부여했다"면서 "예전에는 한 단계로 끝났던 절차가 지금은 2중, 3중으로 보완해서 일벌백계할 수 있는 장치가 됐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갈등의 수습은 좋은 측면이 돼야 한다. 이 열쇠는 국민이 갖고 있다. 국민이 염려하고 반대하는 사안을 거스르는 모습으로 행정을 할 수는 없다. 국민의 뜻에 따라 행정을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문체부는 이날 '이재명 정부 체육 정책 방향' 브리핑을 통해 '어디서나 운동하기 쉬운 생활체육 환경 조성으로 국민 생활체육 참여율 65%, 장애인 생활체육 참여율 40%를 2030년까지 달성하겠다'고 밝혔다.
이를 달성하기 위한 주요 내용으로는 △유아부터 어르신까지 맞춤형 스포츠활동을 지원 △전 국민 스포츠 참여 포인트 제공 △헬스장·필라테스 먹튀 방지 대책 마련 △균등한 스포츠 기회 제공을 위한 국민체육센터 및 국민체력인증센터 확충 △스포츠 인프라 통한 지역 발전을 위해 복합 공연장형 아레나 건립 △유·청소년 통합 체육교실 등 생활체육 프로그램 확대 △장애인 전문선수 발굴·육성을 통한 국가대표 선수풀 확대 등을 제시했다.
'스포츠 강국 위상에 맞는 체육인 복지 실현 및 국제 스포츠 교류 확대' 방안에 대해선 △선수 은퇴 후 재교육 프로그램을 확대 및 공제 사업을 추진 △우수 선수 육성을 위한 성장 단계별 지원 △국민 눈높이에 맞는 공정한 스포츠 거버넌스 구축 △국제대회 참가·유치·개최 지원 △e스포츠 국제대회 참가 △가상 태권도 경기규칙 정비 지원을 제안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