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호세 무뇨스 현대차 대표이사(CEO)는 최근 미국 뉴욕에서 열린 '2025 CEO 인베스터데이'에서 "2030년까지 미국 판매 차량의 80% 이상을 현지에서 생산해야 시장 상황에 대응하고 성장도 이룰 수 있다"고 밝혔다. 이는 현재 40% 수준인 미국 현지 생산 비중을 두 배 가까이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지난해 현대차는 미국에 판매된 91만2000대 중 39.5%인 36만 대를 앨라배마공장(HMMA)에서 생산했다. 여기에 올해 가동에 들어간 조지아주 메타플랜트아메리카(HMGMA)의 생산량을 2028년 50만 대까지 끌어올려 연간 90만 대 이상을 미국 현지에서 생산할 방침이다. 이달부터 적용되는 미국의 25% 수입차 관세에 대응해 가격 경쟁력을 확보하려는 포석이다.
현대차는 2030년까지 글로벌 자동차 시장에서 555만대를 판매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선 미국을 중심으로 한 수출국 다변화 전략이 필요하다. 미국과 함께 중요 시장이었던 중국의 경우 2017년 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THAAD·사드) 배치 이후 연간 판매량이 10만대 안팎에 머물면서 고전하는 상황이다. 실제 베이징현대의 올 상반기 판매량은 5만9311대로, 전년 대비 27% 줄었다. 지난해 현대차의 중국 생산량은 16만5338대로, 2023년 대비 31.5% 감소세를 보였다.
동남아·중동 시장에서도 판매 확대가 뚜렷하다. 현대차는 베트남에서 올 상반기 2만4204대를 판매하며 인기를 끌고 있다. 투싼(3832대), 엑센트(3793대), 크레타(3163대) 등 현지 맞춤형 모델이 두루 선전했다.
중동 지역 최초의 현대차 생산기지인 사우디아라비아 법인(HMMME)도 내년 4분기부터 가동에 들어간다. 연간 5만 대 규모의 생산능력을 갖춘 이 공장은 현대차의 글로벌 생산 거점을 한층 다변화하는 역할을 맡게 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