팔레스타인 승인 놓고 미·서방 갈라져…유엔총회서 정면 충돌 전망

  • 캐나다·호주·영국·포르투갈 등 151개 유엔 회원국이 팔레스타인 국가 승인

  • BBC "상임이사국 중 한 나라라도 반대하면 팔레스타인 국가 승인 불가능"

  • 전문가 "제재 등 구체적 조치 뒤따르지 않으면 큰 차이 만들지 못할 가능성 커"

프랑스의 팔레스타인 국가 승인 발표를 하루 앞둔 21일현지시간 파리 에펠탑에 설치된 대형 스크린에 팔레스타인·이스라엘 국기와 비둘기 이미지가 비춰지고 있다 사진AP연합뉴스
프랑스의 팔레스타인 국가 승인 발표를 하루 앞둔 21일(현지시간) 파리 에펠탑에 설치된 대형 스크린에 팔레스타인·이스라엘 국기와 비둘기 이미지가 비치고 있다. [사진=AP·연합뉴스]
캐나다·호주·영국 등 주요 서방 국가들이 팔레스타인을 국가로 승인하면서 중동 문제를 둘러싸고 미국과 다른 서방 국가들 간 분열이 커지고 있다. 특히 주요 7개국(G7) 중 캐나다와 영국이 처음으로 팔레스타인 지지를 표명함에 따라 유엔총회에서 팔레스타인 국가 승인 문제가 '뜨거운 감자'로 떠오를 전망이다.

21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 등에 따르면 마크 카니 캐나다 총리는 이날 성명을 내고 "'두 국가 해법' 가능성을 지속시키기 위한 국제적 공조 노력의 일환"이라며 팔레스타인을 국가로 공식 승인했다. 또한 키어 스타머 영국 총리는 영상 메시지에서 "평화와 '두 국가 해법'에 대한 희망을 되살리기 위해 나는 영국이 팔레스타인 국가를 공식 인정한다는 점을 분명히 한다"고 말했다. 앤서니 앨버니지 호주 총리 역시 팔레스타인을 국가로 승인한다는 성명을 내고 "호주는 팔레스타인인의 정당하고 오랜 염원을 인정한다"고 밝혔다.

두 국가 해법은 이스라엘을 유대인 국가로, 팔레스타인을 팔레스타인인 국가로 각각 인정해 두 나라가 공존하는 방안을 뜻한다. 22일에는 또 다른 G7 국가인 프랑스도 팔레스타인 승인을 공식 발표할 예정이며 유엔총회 기간 중 룩셈부르크·벨기에 등도 이에 동참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는 성명을 통해 "팔레스타인 인민의 땅과 성지에 대한 권리를 보장하고 예루살렘을 수도로 하는 독립국가를 수립하는 데에 중요한 진전"이라며 환영한다는 뜻을 밝혔다.

반면 이스라엘은 즉각 반발하고 나섰다.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는 영상 성명을 통해 "팔레스타인을 인정하는 지도자들은 테러에 막대한 보상을 주는 것"이라고 비난하며 "요르단강 서안에 팔레스타인 국가는 존재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스라엘은 자신들과 합의 없이는 팔레스타인 국가도 있을 수 없다고 주장해 왔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도 이스라엘을 지지하며 팔레스타인 국가 승인을 반대해 왔다. 그는 지난 18일 영·미 정상회담 후 공동 기자회견에서 영국의 팔레스타인 국가 승인 방침과 관련해 "그 부분에서는 총리와 의견이 불일치한다"며 "사실 우리 사이에 몇 안 되는 의견 불일치 중 하나"라고 언급한 바 있다.

영국 BBC는 유엔 회원국이 되려는 모든 국가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승인을 받아야 하기 때문에 미국 입장이 중요하다며 미국이 동의하지 않는 한 팔레스타인 국가는 성립할 수 없다고 짚었다. 안보리는 미국, 러시아, 중국, 영국, 프랑스 등 5개 상임이사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 모두 거부권이 있다. 이에 상임이사국 중 한 나라라도 팔레스타인의 유엔 가입에 반대하면 다른 모든 나라가 찬성하더라도 승인될 수 없다.

따라서 전문가들은 이번 서방 국가들의 팔레스타인 국가 인정이 상징성은 크지만 즉각적인 변화를 가져오기는 어렵다고 분석했다. 영국 싱크탱크 채텀하우스 소속 요시 메켈버그 선임연구원은 워싱턴포스트(WP)에 "이번 조치는 외교적 역학구도를 바꾸고 변화에 힘을 더할 것"이라면서도 "무기 판매 제한이나 제재 같은 구체적 조치가 뒤따르지 않으면 큰 차이를 만들지 못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