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시는 지하철 화재·흉기 난동·차량 돌진 등 연쇄적으로 발생하는 복합 재난 상황을 가정한 ‘2025년 서울시 재난대응 안전한국훈련’을 실시했다고 22일 밝혔다.
훈련은 이날 오후 2시 영등포구 여의나루역 일대에서 진행됐다. 서울시·영등포구청·서울교통공사 공동 주관으로 진행됐으며 소방·경찰 등 20개 기관과 단체가 참여했다. 재난안전현장상황실 버스를 포함해 장비 78대와 인력 900여 명이 투입됐다.
지하 47미터 깊이에 위치한 5호선 여의나루역에서 배터리 발화와 방화로 화재가 발생하고 대피 과정에서 인파 사고와 흉기 난동이 이어지는 상황을 가정해 이뤄졌다.
이를 통해 시민 보호, 긴급구조, 응급의료, 재난복구 등 대응 체계를 점검했다. 초기 접수부터 전파, 1차 대응기관 출동, 재난안전대책본부·통합지원본부 가동까지 전 과정을 실제처럼 훈련했다.
훈련에서 오세훈 서울시장은 다수 인명 피해 보고를 받고 즉시 재난안전대책본부 가동을 지시, 현장 수습을 총괄했다. 재난안전현장상황실과 시청·재대본 간 영상회의를 통해 실시간 대응책을 논의하고 유관기관 간 신속 대응 훈련을 진행했다.
현장훈련과 동시에 시청 지하 3층에서 토론훈련을 병행해 응급의료, 피해자 신원 확인, 대중교통 비상 대책, 정신건강 서비스 등 대응 방안을 점검했다.
시는 이번 훈련을 통해 복합 재난 상황에서 신속한 초기 대응, 지휘체계 일원화, 부서 간 유기적 공조 등을 점검할 예정이다. 또 시민들을 대상으로 안내방송 준수 등 기본 안전 수칙의 중요성을 알릴 계획이다.
오 시장은 “재난은 우리 사회와 일상의 가장 약한 고리를 파고드는 만큼 미흡한 부분을 더 치열하게 찾아내고 훈련하고 개선해 ‘시민 안전 최우선 도시, 서울’을 향한 노력을 멈추지 않겠다”라고 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