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종시 정부세종청사 11동 고용노동부. 2023.10.13[사진=유대길 기자 dbeorlf123@ajunews.com]
고용노동부와 한국고용정보원은 23일 '고용24' 서비스 출범 1주년을 맞아 그간의 성과를 발표하고 이용자들의 경험담을 담은 '고용24 활용 수기·영상 공모전' 시상식을 개최했다.
지난해 9월 정식 오픈한 고용24는 민원창구와 업무기능을 하나로 통합한 디지털 고용서비스 플랫폼이다. 개인에게는 취업 가능성 진단과 인공지능(AI) 기반 맞춤형 일자리·훈련을 제공해 취업 성공률을 높이고, 기업에는 AI 구구인공고 작성과 인재 추천 기능을 통해 채용 효율성을 높여왔다.
고용24는 서비스 개시 이후 1년간 △개인회원 1189만명(누적) △기업회원 51만개(누적) △일평균 방문자 121만명 △앱 다운로드 279만건을 기록했다. 특히 AI 일자리 매칭을 통한 취업자는 91.3% 증가했고, AI 기반 진로·경력설계 서비스(잡케어) 이용 건수는 50.6% 늘어났다.
서비스 개시 1주년을 맞아 진행된 이번 공모전에는 전국에서 250여건의 수기와 영상이 접수됐다. 구직청년·경력단절여성·결혼이민자 취업사례 등 최종 12편이 수상작으로 선정되었다.
대상은 고용24 잡케어와 평생직업능력개발 플랫폼(STEP)을 통해 금속 기술자로서의 경력을 확장한 사례가 차지했다. 최우수상에는 AI 일자리 추천을 활용해 실직 위기를 극복하고 재취업에 성공한 사례가 선정됐다.
이밖에도 △고용24에서 역량을 키워 경력단절 위기를 극복한 간호사 △계속된 취업 실패 이후 고용24를 접하고 중견기업 입사에 성공한 청년 △현재 통번역가로 활동 중인 결혼이민자의 도전 △고용24 홍보 포스터를 계기로 자신감을 찾고 다시 도전에 나선 중증 장애인 △기업 현장문화를 개선한 인사관리(HR) 담당자 등 다양한 이야기가 접수됐다.
시상식에 참석한 이창수 한국고용정보원장은 "고용24는 고객수기 영상 공모전 등 다양한 이용 사례와 현장의 목소리를 바탕으로 국민과 기업 모두가 체감할 수 있는 대표 고용서비스 플랫폼으로 지속 발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조정숙 노동부 고용지원정책관은 "앞으로도 AI·빅데이터에 기반해 구직자·기업 맞춤형 원스톱 지원서비스, 고령자 전용 페이지, 상담 예약 기능 등 새로운 디지털 서비스를 지속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지난해 9월 정식 오픈한 고용24는 민원창구와 업무기능을 하나로 통합한 디지털 고용서비스 플랫폼이다. 개인에게는 취업 가능성 진단과 인공지능(AI) 기반 맞춤형 일자리·훈련을 제공해 취업 성공률을 높이고, 기업에는 AI 구구인공고 작성과 인재 추천 기능을 통해 채용 효율성을 높여왔다.
고용24는 서비스 개시 이후 1년간 △개인회원 1189만명(누적) △기업회원 51만개(누적) △일평균 방문자 121만명 △앱 다운로드 279만건을 기록했다. 특히 AI 일자리 매칭을 통한 취업자는 91.3% 증가했고, AI 기반 진로·경력설계 서비스(잡케어) 이용 건수는 50.6% 늘어났다.
서비스 개시 1주년을 맞아 진행된 이번 공모전에는 전국에서 250여건의 수기와 영상이 접수됐다. 구직청년·경력단절여성·결혼이민자 취업사례 등 최종 12편이 수상작으로 선정되었다.
이밖에도 △고용24에서 역량을 키워 경력단절 위기를 극복한 간호사 △계속된 취업 실패 이후 고용24를 접하고 중견기업 입사에 성공한 청년 △현재 통번역가로 활동 중인 결혼이민자의 도전 △고용24 홍보 포스터를 계기로 자신감을 찾고 다시 도전에 나선 중증 장애인 △기업 현장문화를 개선한 인사관리(HR) 담당자 등 다양한 이야기가 접수됐다.
시상식에 참석한 이창수 한국고용정보원장은 "고용24는 고객수기 영상 공모전 등 다양한 이용 사례와 현장의 목소리를 바탕으로 국민과 기업 모두가 체감할 수 있는 대표 고용서비스 플랫폼으로 지속 발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조정숙 노동부 고용지원정책관은 "앞으로도 AI·빅데이터에 기반해 구직자·기업 맞춤형 원스톱 지원서비스, 고령자 전용 페이지, 상담 예약 기능 등 새로운 디지털 서비스를 지속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