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T가 소액결제 해킹 사고를 해킹이 아닌 스미싱으로 인지했다고 해명했다.
김영섭 KT 대표는 24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에서 열린 통신·금융 대규모 해킹사고 청문회에서 대응 과정이 늦었던 이유에 대해 "초기에는 해킹이 아닌 '스미싱 현상'으로 파악하고 있었다"고 해명했다.
이날 황정아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경찰로부터 지난 1일 최초 통보를 받고도 KT는 언론 보도가 나오는 5일까지 아무 조치를 하지 않았다"며 "내부 자료에는 9월 4일 이상 징후를 발견했음에도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에 '사전 이상 징후 없었다'고 허귀 보고했다"고 질타했다.
이어 "용역업체가 서버 침해 정황을 지난 7월 9일 최초 인지했음에도, 피해가 발생했던 시점(8월 1일, 6일, 13일)에 서버를 폐기한 것은 명백한 증거 인멸"이라고 주장했다.
이에 김 대표는 "사고를 은폐하거나 증거를 인멸할 의도는 없었다"고 부인했다.
황 의원은 소액결제 해킹 피해가 278명에서 362명으로 갑자기 늘어난 이유와 피해 지역을 광명, 부천에 한정해 발표한 점도 물었다.
이에 김 대표는 "피해 지역을 한정해서 발표한 점에 대해서는 초기 피해의 85%가 해당 지역에 집중했기 때문"이라며 "잘못했다고 생각한다"고 시인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