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황정아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김영섭 KT 대표를 향해 사퇴 압박을 가하는 등 책임론 공세가 이어졌다. 황 의원은 위약금 면제·배상 회피, 축소·은폐 의혹을 잇달아 지적하며 과기정통부의 ‘봐주기’ 논란까지 거론했다.
황정아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24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에서 열린 통신·금융 대규모 해킹사고 청문회를 통해 김영섭 KT 대표를 향해 강도 높은 공세를 펼쳤다.
황 의원은 "김 대표가 바지사장 같다"며 "대표는 책임을 지는 자리다. 추가 위증 사례가 나오면 사퇴하겠다고 말하라"고 직격했다.
황 의원은 "당연한 책임도 회피하면서 무슨 대표냐"며 과기정통부에는 "영업정지를 내릴 사안이다. 과기정통부가 KT를 사실상 봐주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민관합동조사단도 현장에 나가 있지만 제대로 하는 일이 없다"며 신고 전후 과기정통부 조사의 공백을 지적했다.
이에 류제명 과기정통부 2차관은 "새로운 침해사고와 함께 동시에 조사하고 있다"면서 "과기정통부에 신고하기 전까지는 몰랐다"고 해명했다.
황 의원은 "KT의 신고 직전 3일 동안 손 놓고 있었다는 거냐. KT의 축소·은폐 시도가 보인다. 기업들의 사건 축소와 허위 제출이 빈번하다"고 추궁했다.
류 차관은 "허위 여부는 면밀히 따져보겠다"며 "KT 조사 범위가 제한적이라는 점은 맞다"고 답했다.
황 의원은 이어 "김 대표가 의원실 보도를 반박하면서 ARS 외에도 SMS 피해 내역이 있었다는 사실을 간접적으로 시인했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김 대표는 "SMS 인증이 일부 포함돼 있었다. 나중에 보고 알았다"고 답했다. 이에 황 의원은 "결국 피해를 축소하려 한 것 아니냐"고 몰아붙였다.
KT-과기정통부-법무법인 세종에 대한 관계도 지적됐다.
황 의원은 또 "KT가 소액결제 사태 자문을 맡긴 법무법인 세종에는 전직 과기정통부 출신이 다수 포진해 있다"며 "과기정통부에서 KT로 이직하며 연봉이 1억원대에서 4억원대로 뛰었다. 결국 이번 사태에도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는 구조"라고 꼬집었다. 김 대표는 "법무법인의 검토 끝에 세종을 선택했다"고 해명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