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악관 관계자 "트럼프의 대러 강경 발언은 협상 전술"

  • 트럼프, 전날 "러시아 항공기 격추", "우크라 영토 회복" 발언과 대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사진로이터·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사진=로이터·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러시아를 향해 쏟아낸 강경 발언은 크렘린을 압박하기 위한 ‘협상 전술’일 뿐이라는 백악관 고위 관계자의 설명이 나왔다.
 
워싱턴포스트(WP)는 24일(현지시간)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이 전날 러시아의 패배와 우크라이나 영토 회복 가능성을 언급해 세계를 놀라게 한 직후 나온 것이라고 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23일 유엔에서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과 양자회담 직후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국가들이 영공을 침범한 러시아 항공기를 격추해야 한다고 보느냐”는 취재진 질문에 “그렇다”고 답했다.
 
다만 러시아 항공기 격추 작전에 미국의 직접 참여 여부에 대해서는 “상황에 따라 다르다”며 명확한 답변을 피했다.
 
또한 트럼프 대통령은 회담 후 자신이 운영하는 트루스소셜에 “시간과 인내, 재정 지원이 충분하다면 전쟁이 시작됐을 때의 원래 국경을 회복하는 건 매우 가능한 선택지”라고 적었다.
 
이는 러시아 점령지 회복 요구에 부정적이던 기존 입장과는 상반된 발언으로 젤렌스키 대통령의 오랜 주장을 사실상 수용한 것이었다. 그간 트럼프 대통령은 우크라이나가 전쟁을 끝내려면 영토를 포기해야 한다고 말해왔던 바 있다.
 
그는 러시아를 ‘종이호랑이’라고 “진정한 군사 강국이었다면 일주일도 채 걸리지 않았을 전쟁을 무의미하게 3년 반 동안 계속해 왔다”고 비판했다. 이는 러시아가 전쟁 초기에 ‘3일 내 장악’을 장담했던 발언을 꼬집은 것이다.
 
백악관 고위 관계자는 트럼프 대통령의 강경 발언은 지난달 15일 알래스카에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의 회담에서 별다른 성과를 얻지 못한 데 따른 좌절감을 드러낸 것이라며 젤렌스키 대통령과의 회담 직후 발언만으로 미국 정책의 근본적 변화가 있다고 보기는 어렵다고 지적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