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병수 김포시장 "지부상소 정신 널릴 알릴 계기…김포는 특별한 축제의 도시"

  • 전국 유일무이 도끼축제로 김포에 5만명 몰려… 이색체험 통했다

  • 중봉조헌 '지부상소' 정신 담은 '도끼'로 재미와 의미 모두 잡아

  • 전국 최초 열린 K-중봉 코스프레 거리퍼레이드, 각양각색 도끼로 진풍경

개막식에서 인사말을 전하고 있는 김병수 시장 사진김포시
개막식에서 인사말을 전하고 있는 김병수 시장. [사진=김포시]
전국 유일무이의 도끼축제인 ‘김포다담축제’에 5만여명이 몰리며 큰 인기를 입증했다. 김포의 전통부터 예술까지 풍성한 볼거리에 특별한 콘텐츠인 ‘도끼’ 브랜딩이 통했다는 시민 반응이다. 특히 올해는 김포를 넘어 전국 각지에서 찾아와 K-중봉 코스프레에 참여하는 등 김포의 대표 위인인 중봉 조헌선생의 ‘지부상소’ 의미를 보다 쉽게 접하고 전국으로 널리 전파했다는데 큰 의미를 가진다. 

김포시는 27일 김포아트빌리지와 아트센터에서 김포의 전통과 문화, 예술을 담은 ‘2025 다담축제’를 개최했다. 김포시가 주최하고 김포문화원과 김포예총, 김포문화재단, 김포시풍물연합회가 주관한 이번 축제는 K-중봉 코스프레 거리 퍼레이드부터 나만의 도끼 지부상소, 박터트리기 대회까지 특별한 콘텐츠를 선보여 참여자들로부터 큰 호응을 얻었다. 

올해 전국 최초로 진행된 K-중봉 코스프레 거리 퍼레이드는 총 450미터 거리로, 퓨전 사물 길놀이 공연팀과 전통탈 체험자, 어린이부터 어우동 코스프레를 한 참가자, 금도끼와 은도끼 코스프레를 한 참가자, 가족 단위로 찾은 참가자, 어르신들까지 각자의 도끼를 들고 함께 하며 어우러지는 진풍경이 펼쳐졌다. 참여자들은 박 터뜨리기까지 함께 동참해 "지금 드는 건 ‘도끼’ 아닌 ‘용기’, 변화를 여는 도끼"라며 "김포, 우리의 K-지부상소"를 외치며 한 마음으로 축제를 즐겼다. 
중봉문화제 ‘나만의 도끼 지부상소’ 참여자들과 김병수 시장 사진김포시
중봉문화제 ‘나만의 도끼 지부상소’ 참여자들과 김병수 시장. [사진=김포시]
‘나만의 커스텀 도끼’를 자랑할 수 있는 ‘나만의 도끼 지부상소’에는 총 200여명의 참여자가 이색도끼들을 선보였는데, 계란판으로 만든 도끼, 꽃으로 만든 도끼, 동화 속 도끼 등 다양한 도끼들이 공개됐다. 참가자들은 김포의 대표 위인인 중봉조헌선생의 지부상소를 현대적으로 해석한 이색 퍼포먼스에 큰 관심을 보였다. 

최태성 역사강사가 진행한 ‘중봉조헌과 김포역사’ 특강과 양경원과 이석, 신고은이 출연하는 김포시 창작 뮤지컬 ‘애기봉’ 갈라쇼, 미디어아트로 즐기는 가을밤 야경쇼는 모든 참여자들의 환호를 자아냈다. 

이날 축제에 참여한 한 관광객은 "김포에 재미있는 축제가 있다고 해서 처음 와봤다. 개성을 담은 도끼를 만들어서 참여하는 발상이 재미있고 신선하다. 김포에 재미있는 축제도, 핫플도 많다. 또 오고 싶은 매력적인 도시"이라고 말했고, 또 다른 참여자는 "지부상소에 담긴 정신을 되새기기 어려운 시대인데 자연스럽게 떠올리게 됐고, 우리 아이에게도 설명해 줄 수 있는 좋은 계기였던 것 같다. 흔하게 볼 수 있는 축제가 아니라 더욱 만족스럽다"고 말했다. 
김포를 넘어 전국 각지에서 찾아와 K-중봉 코스프레 거리퍼레이드에 참여하고 있는 사람들 사진김포시
김포를 넘어 전국 각지에서 찾아와 K-중봉 코스프레 거리퍼레이드에 참여하고 있는 사람들. [사진=김포시]
김병수 김포시장은 "오늘 열린 다담축제는 일반적인 문화제가 아니라 중봉의 정신을 세계적으로 알릴 수 있는 특별한 축제다. 조헌 선생의 지부상소에 담긴 정신을 널리 알리고자 직관적이자 상징적으로 도끼를 내세워 재미와 의미를 모두 잡고자 한 의도"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김포다담축제를 통해 정의와 소신, 결단의 정신을 다시금 되새기는 날이 되길 바란다"며 "김포는 김포가 가진 것을 바탕으로 새로운 시각으로 접근해 전국에 김포를 알리고 있다. 전국 유일의 도끼축제인 김포다담축제를 통해 김포가 특별한 축제의 도시로 도약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이날 다담축제는 VR드로잉과 기념식으로 시작해 전통놀이와 민속놀이, 아트마켓, 예술체험, 기획전시 등 다양한 체험의 장이 열렸고, 지부상소 퍼포먼스와 한가위 공연, 사또 퀴즈대회, 민속예술 전통공연과 풍물공연, 김포예술제로 이어지며 볼거리 많고 특별한 콘텐츠가 있는 풍성한 축제로 구성됐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