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8일 정부에 따르면 지난 26일 국정자원 대전 본원에서 발생한 전산실 화재는 무정전·전원장치(UPS)용 리튬이온 배터리가 원인인 것으로 드러났다. 화재가 진압되는 데에는 22시간이 소요됐다.
소방당국은 "현재 리튬이온 배터리를 정확하게 진화할 수 있는 방법은 다량의 물을 뿌리거나 수조에 담가 냉각시키는 것뿐"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화재로 인해 정부의 재생에너지 정책에도 제동이 걸릴 가능성이 발생했다. 앞서 정부는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이기 위해 재생에너지 확대를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또 이를 위해 에너지저장장치(ESS)를 늘려 재생에너지의 간헐성을 보완할 계획이다.
또 2035년 재생에너지 설비용량은 최소 130GW에서 최대 160GW이상으로 늘려야 한다고 밝혔다. 동시에 재생에너지의 간헐성을 보완하기 위해 'ESS 등 유연성 자원 확대'를 내놨다.
하지만 이번 국정자원 화재로 ESS 주민수용성이 낮아질 것이란 우려가 나온다. 태양광과 풍력 등 재생에너지 사업은 저주파 소음, 토양·수질오염 등으로 주민수용성이 낮은 상황이다. 여기에 ESS 화재 위험성이 더해져 주민들의 인식 개선이 더욱 어려워질 것으로 보인다.
한국전기안전공사에 따르면 2017년부터 지난해 6월까지 ESS 화재는 총 55건 발생했다. 또 배터리 화재는 △2020년 292건 △2021년 319건 △2022년 345건 △2023년 359건 △2024년 543건 발생했으며 올 상반기에는 296건으로 집계됐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