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가 29일(현지시간) 트럼프 대통령이 제안한 '가자지구 평화구상'을 실행하기로 합의했다. 2년 가까이 이어진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 간 전쟁이 종식 국면에 들어설 수 있다는 기대가 높아지는 가운데 하마스의 최종 수용 여부가 마지막 변수로 떠올랐다.
로이터통신, 알자지라 등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에서 열린 네타냐후 총리와의 정상회담 후 공동 기자회견에서 "최소한 우리는 (전쟁 종식에) 매우, 매우 가까워졌다. 나는 우리가 매우 가까워진 수준을 넘어섰다고 본다"고 밝혔다.
그는 "(중동) 지역의 친구와 파트너들의 광범위한 협의 끝에 나는 공식적으로 우리의 평화 원칙을 발표한다"며 "이 계획에 동의해준 네타냐후 총리에게 감사하다"고 말했다.
이어 "내 제안은 하마스가 수락하면 모든 인질들을 즉시 석방하되 72시간을 넘기지 않도록 했다. 따라서 인질들은 돌아올 것이며, 이는 전쟁의 즉각적인 종식을 의미한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나는 하마스도 합의하고 싶어 한다고 듣고 있다"며 "이는 좋은 일"이라고 말했다.
그는 아랍 및 무슬림 국가들이 하마스와 협상하고 있다면서도 "하마스가 이 합의를 거부할 가능성도 항상 있다. 그들만이 유일하게 남는 것이다. 다른 모든 이는 이를 받아들였다"며 "하지만 (하마스로부터) 긍정적인 답변이 나올 것 같다"고 내다봤다.
트럼프 대통령은 만약 하마스가 합의를 거부할 경우 이스라엘의 군사행동을 전폭적으로 지원할 뜻도 밝혔다. 그는 "만약 그렇지 않다면 네타냐후 당신은 당신이 해야 할 일을 하는 데 있어 더욱 전폭적인 지지를 받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번 구상에 대해 "이 제안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막대한 지원을 보내준 아랍 및 무슬림 국가들과 유럽의 많은 동맹국들에 감사하다"며 전 세계 각국의 폭넓은 지지를 받고 있음을 강조했다.
네타냐후 총리도 "오늘 우리는 전쟁 종식을 위한 중요한 발걸음을 내디뎠으며, 중동에서 평화를 극적으로 증진하기 위한 무대를 마련했다. 가자지구 전쟁 종식을 위한 당신의 계획을 지지한다"고 화답했다.
그는 "이 계획은 우리의 전쟁 목표를 달성할 것이며, 모든 인질을 이스라엘로 귀환시키고, 하마스의 군사능력과 정치적 지배를 해체하며, 가자지구가 다시는 이스라엘의 위협이 되지 않도록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네타냐후 총리는 이번 계획이 제대로 실행될 경우 "모든 인질, 생존자와 사망자가 모두 즉시 귀환할 것"이라며 "하마스는 무장해제될 것이고 가자는 비무장화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하마스가 합의를 거부하거나 수락 후 이를 위반할 경우에는 "이스라엘은 스스로 임무를 완수할 것"이라며 하마스 제거 작전을 계속하겠다고 경고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밝힌 가자 평화구상은 총 20개 항으로 구성돼 있다. 이스라엘과 하마스가 합의하면 하마스는 이스라엘 인질을, 이스라엘은 팔레스타인 구금자를 각각 석방하는 것으로 종전 절차가 시작된다. 이어 하마스 군사능력 해체를 통한 비무장화, 하마스 구성원 사면, 가자지구 과도정부 수립 및 이스라엘군 단계적 철수, 전후 재건을 감독할 국제적 '평화위원회(Board of Peace)' 구성 등의 단계로 이어진다.
트럼프 대통령은 "아랍 세계·이스라엘 지도자와 관련된 모든 이들이 이 일을 해달라고 요청했다"며 자신이 평화위원회 의장을 맡겠다고 밝혔다.
다만 하마스가 이 구상을 수용할지는 불투명하다. 무장 해제와 사실상 가자지구에서의 퇴출을 요구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하마스는 알자지라 미국의 제안을 "성실하게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나는 팔레스타인인들에게 그들의 운명을 책임지라고 요구한다. 현재 하마스가 억류 중인 생존 인질은 약 20명으로 알려졌으며, 이스라엘의 공습으로 인한 팔레스타인 측 사망자는 6만 6000명을 넘어섰다고 가자지구 보건부는 최근 밝혔다.
네타냐후 총리도 "가자지구에는 하마스도, 팔레스타인 자치정부(PA)도 운영하지 않는 평화로운 민간 정부가 수립될 것"이라고 밝혔다.
두 정상은 기자회견에서 각자 발언을 마친 뒤 질문을 받지 않은 채 퇴장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번 일에 관계된 여러 다른 국가의 서명과 승인을 기다리는 동안에는 질문을 받지 않는 것이 좋겠다"고 말했고, 네타냐후 총리도 이에 동의했다.
스티븐 쿡 미 외교관계위원회(CFR) 수석 연구원은 로이터에 전쟁 종식이 가까워졌을지 모르지만, 더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며 "카타르는 이제 하마스를 압박해야 하고, 네타냐후는 안보 내각에 설득해야 한다"고 말했다.
가자지구 전쟁은 2023년 10월 7일 하마스가 이스라엘을 기습해 민간인을 포함한 1200여명을 살해하고 250여명을 인질로 납치한 사건을 계기로 발발해 2년 가까이 이어지고 있다.
현재 하마스가 억류 중인 생존 인질은 약 20명으로 알려졌으며, 이스라엘의 공습으로 인한 팔레스타인 측 사망자는 6만6000명을 넘어섰다고 가자지구 보건부는 최근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