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비율 3위에도 뒤늦은 첫걸음...베트남 가상자산 규제 시험대

  • 2100만 명 사용자 연간 1040억 달러 거래

  • 전문가들 "블록체인 활용과 투기 구분 필요"

베트남이 가상자산 시장을 제도권 안으로 편입하기 위한 첫걸음을 내디뎠다 사진Freepik
베트남이 가상자산 시장을 제도권 안으로 편입하기 위한 첫걸음을 내디뎠다. [사진=Freepik]


베트남이 가상자산 시장을 제도권 안으로 편입하기 위한 첫걸음을 내디뎠다. 정부가 결의안 05호를 발표하며 법적 기반을 마련했지만 전문가들은 투기 열풍과 제도적 관리 사이에서 균형을 찾아야 한다고 경고했다.

30일(현지시각) 베트남 청년신문에 따르면, 정부가 지난 9일 발표된 결의안 05호는 블록체인 기술 및 디지털 기술을 활용해 생성·발행·보관·전송되는 자산을 '가상자산'으로 정의했다. 다만 증권이나 법정 화폐 등은 이에 포함되지 않는다. 이번 결의안은 지난 9일부터 효력이 발효됐으며 향후 5년 동안 시범 운영된다.

BIDV 수석 이코노미스트인 끈 반 륵 박사는 베트남 내 가상자산에 대한 이해가 여전히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현재 베트남의 비트코인 및 가상자산 사용자는 약 2100만명으로 추정되며 전체 인구의 21%에 해당한다"며 "사용자 비율만 놓고 보면 세계 3위 수준이며 특히 25세에서 34세 젊은층이 주를 이루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륵 박사는 베트남 국민이 연간 약 1040억 달러 규모의 가상자산 거래를 주로 해외 거래소에서 처리하고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그는 "이 거대한 자금이 국내로 환류되지 못하고 세금이나 투자로 연결되지 않는 것은 큰 손실"이라며 "자원의 유출을 막기 위한 통제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륵 박사는 가상자산을 단순히 투기 수단으로만 인식하는 것은 위험하다고 경고했다. 그는 "경제 발전을 위해서는 다양한 투자와 비즈니스 자금이 필요하다"며 "블록체인 기술은 안전하고 신속하지만 투기 조장으로 오해되어서는 안 된다"고 덧붙였다.

◆ 토큰화 통한 자본 조달 시장 기대

판 득 쭝 베트남 블록체인 및 디지털자산 협회 회장은 정부가 실물자산과 소유권을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토큰으로 전환하는 토큰화 확산을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결의안이 부동산 펀드 수익증권 금 등 실물자산의 토큰화를 통해 새로운 자본 조달 시장을 여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고 설명했다.

비나캐피털의 거시경제 분석 책임자 마이클 코칼라리는 "효과적인 규제가 마련된다면 가상자산을 국내 금융 시스템에 통합할 수 있다"며 "블록체인과 토큰화는 금융을 넘어 경제 전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평가했다.

반면 엑스니스 투자은행의 시장 전략 전문가 찐 하는 규제가 허술하면 가상자산이 불법 자금 유입의 통로가 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그는 "엄격한 관리가 뒷받침돼야 가상자산이 안정적인 자본 조달 수단으로 자리 잡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 거래소 규정 넘어선 생태계 필요

호치민시 경제대학교 은행학부 금융시장학과장 응우옌 흐우 후언 부교수는 이번 시범 운영을 가상자산 시장을 위한 법적 통로를 마련한 첫 단계로 평가했다. 하지만 현재 규정이 거래소 설립과 관리에만 국한돼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거래소 규정은 필수적이지만 이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며 "매매 활동에 머무르지 않고 보다 넓은 생태계를 조성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탈중앙화 금융 모델, 개인 간 대출 플랫폼, 자산 토큰화, 안전한 보관 서비스 등 투자자 보호 장치를 포함해야 진정한 가상자산 시장이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