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일 한국부동산원 9월 5주(9월 29일 기준) 주간 아파트가격 동향 조사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전주 대비 0.27% 상승했다. 35주 연속 오름세로, 4주 연속 상승 폭을 키운 것이다.
부동산원은 "가격 상승 기대감 있는 재건축 추진 단지 및 대단지·역세권 등 정주여건이 양호한 선호단지 중심으로 매수 문의가 증가하고, 상승 거래가 포착되는 등 서울 전체가 상승했다"고 설명했다.
실거래 시장에서도 집값 상승세는 확연하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지난 13일 마포구 염리동 마포자이(전용면적 113㎡)가 26억5000만원에 거래되며 신고가를 경신했다. 또 다음날에는 성동구 행당동 서울숲리버뷰자이(전용면적 84㎡)도 25억3000만원에 거래되면 손바뀜했다.
업계에서는 정부의 9·7 대책이 시장 기대에 미치지 못한 점을 가격 상승 요인으로 꼽고 있다. 주택 수요가 가장 많은 서울에서 신규 주택 공급이 대폭 줄어든 상황에서 공급부족으로 인한 불안 심리가 확산되고 있다는 것이다. 9·7 대책이 별다른 효과를 보지 못하면서 정부가 추가 규제에 나설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오는 것도 수요자들을 자극하는 요인으로 꼽힌다.
고준석 연세대 상남경영원 주임교수는 "정부가 9.7 대책을 통해 주택공급에 대한 의지를 밝혔지만, 실제 공급까지 시간이 걸리는 만큼 효과는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며 "주택공급 부족 우려가 여전한 상황이고, 잠재 수요가 여전히 풍부해 연말로 갈수록 집값 상승세가 이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대출 규제 이후 관망세를 이어가던 시장이 다시 꿈틀거리면서 '내 집 마련'을 고려하는 수요자들의 고민도 깊어지고 있다. 정부가 추가 규제를 예고하고 있고, 이미 대출 규제로 인해 자금 마련이 쉽지 않은 상황이지만 가격 상승 가능성이 점차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한국은행이 발표한 '9월 소비자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주택가격전망 소비자동향지수(CSI)는 전달보다 1포인트 오른 112로 집계됐다. 주택가격전망CSI는 1년 뒤 집값에 대한 소비자 판단을 보여준다. 기준치 100을 웃돌면 주택 가격이 지금으로부터 1년 후 상승할 것이라고 응답한 가구가 하락할 것으로 응답한 가구보다 많다는 뜻이다.
전문가들은 정부의 정책적 규제 강화와 구조적 월세 부담 증가, 금리 하락 기대감이 맞물린 상황이라며 교통·교육·생활 인프라가 집약된 핵심 입지의 '똘똘한 한 채'를 중심으로 전략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한 업계 관계자는 "정부의 규제 기조가 지속적으로 강화될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에서 실수요자들의 '내 집 마련' 수요가 핵심 입지 위주로 빠르게 몰릴 가능성이 크다"며 "특히 월세 부담이 커지는 가운데 금리 인하 기대감까지 더해지면서, 실거주 목적의 '똘똘한 한 채' 선점 전략은 앞으로 더 강화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에 "서울 전역으로 토허구역을 확대하거나 규제 지역을 추가 지정하는 등 또 다른 규제가 나올 가능성이 매우 커지고 있다"며 "규제 전, 가격이 더욱 오르기 전에 내 집 마련을 하는 것을 적극 권장한다"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