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추석 앞두고 '민생' 책임 공방... "발목잡기 멈춰야" vs "포퓰리즘 중단"

  • 생활물가 급등 속 '책임 정치' 강조

  • 통합 외친 與, 포퓰리즘 비판한 野

서울시내 전통시장 사진연합뉴스
서울시내 전통시장 [사진=연합뉴스]

여야가 추석을 하루 앞둔 5일 생활물가 상승 등 민생경제를 둘러싸고 책임 공방을 벌였다.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의힘의 '발목잡기 정치'를, 국민의힘은 정부와 여당의 '포퓰리즘 정책'을 각각 지목하며 서로에게 민생 악화의 원인이 있다고 비판했다.

박지혜 더불어민주당 대변인은 이날 국회 브리핑에서 "민생과 경제를 살리는 데 여야가 따로 있을 수 없다"며 "국민의힘은 정쟁을 위한 마구잡이식 '발목 잡기' 정치에서 벗어나야 한다"고 말했다.

박 대변인은 "이재명 대통령은 추석 인사를 통해 '국민 통합'과 '성장 회복'이라는 민생정책 방향을 제시했다"며 "대통령의 의지에 국회가 반드시 함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대한민국의 미래를 위해서는 갈등의 정치를 넘어 국민을 위한 통합의 정치로 나아가야 한다"며 "국정 안정과 책임의 정치만이 국민의힘이 공당으로 거듭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라고 덧붙였다.

반면 국민의힘 최수진 원내수석대변인은 같은 날 논평을 통해 "추석을 앞두고 장바구니 물가가 급등하며 국민들은 '장보기가 겁난다'고 호소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최 대변인은 "이재명 정부는 물가 상승을 기업의 불공정거래 탓으로 돌리며, 시장경제를 처벌로 통제하려는 '사형경제학'을 펴고 있다"고 비판 수위를 높였다.

그는 "물가 폭등의 근본 원인은 민생쿠폰 등으로 돈을 뿌린 포퓰리즘 정책 때문"이라며 "전문가들조차 물가만 오르고 끝날 수 있다고 경고하지만 정부는 현실 진단 대신 남 탓에만 몰두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 "이재명 대통령이 바나나 수출 가격의 국제 차이를 문제 삼은 것은 시장경제의 기본 원리를 이해하지 못한 것"이라며 "시장가격은 환율과 물류비, 수요·공급 등 다양한 요인으로 결정된다"고 꼬집었다. 그는 "국민이 원하는 것은 보여주기식 쿠폰이 아니라 장바구니에서 체감할 수 있는 물가 안정"이라며 "정부는 포퓰리즘식 돈뿌리기 정책을 멈추고 실질적이고 지속 가능한 대책을 내놔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국가데이터처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가 전년 동월 대비 2.1% 상승했다. 빵(6.5%), 커피(15.6%), 축산물(5.4%), 수산물(6.4%) 등 식품 전반에서 오름세가 두드러졌으며 쌀 20㎏ 가격은 6만8435원으로 1년 전보다 29.2% 뛰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2025 서울한강 어텀워크 -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