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 장관은 이날 국회 기후에너지환경노동위원회의 기후부 국정감사에 출석해 윤상현 국민의힘 의원이 '기후부가 탈원전 기조로 기우는 것이 아니냐'고 질의하자 "지금은 탈탄소를 하는 게 매우 중요하고 재생에너지 중심으로 가되 우리나라 특성상 원전을 일종의 보조 에너지원으로 조화롭게 가는 게 좋겠다는 취지를 갖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윤 의원은 이날 "원전 건설 반대", "원전 중심 정책은 국가 경제 망치기" 등 김 장관의 과거 발언을 지적하며 "완전히 탈원전주의자, 그것도 아주 강성으로 보인다"고 언급했다. 또 "원전 수출을 하지 말자고 하셨다"며 "이것도 어떻게 보면 이재명 대통령과 엇박자로 들린다"고 했다.
또한 윤 의원은 "최근에 기후에너지환경부 세계적인 추세는, 영국이나 독일이나 심지어에스토니아까지도 기후에너지 합쳤다가 다시 분산시키지 않았느냐"면서 "기후의 규제(정책) 파트와 산업 지원 파트의 조화가 안 돼서 그런 것 아니냐, 정부 조직개편 다시 재고해야 된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체코 원전 수출(규모)이 24조원이었는데, 이것보다 1000조원의 수주 잔고를 기록한 배터리 3사와 같이 훨씬 규모가 큰 수출 상품이 많으니 여기에 더 많은 관심을 가져야 한다는 의미였다"고 했다.
또 "태양광, 풍력 등 신재생에너지 기술 패키지를 언급한 것 역시 시급한 '탄소 저감'을 위한 해법을 강조한 것이지 이를 '탈원전'과 직접 연결하는 것은 과한 해석"이 반박했다.
신규 원전 건설과 관련해서는 12차 전력수급기본계획(전기본)에서 재검토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김 장관은 제11차 전기본에서 확정한 2기의 신규 원전 건설 계획에 대한 입장을 묻는 조지연 국민의힘 의원의 질문에 "현재는 11차 전기본이 국가의 공식 계획이기 때문에 존중해야 한다"면서도 "새로운 정부에서는 재생에너지를 대폭 확대해야 한다는 요구를 감안해 12차 전력수급계획을 수립할 예정이며 이때 원전 문제를 다시 한번 들여다보고 확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