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찬진 금융감독원장이 회계법인 최고경영자(CEO)들을 만나 감사 품질 향상을 당부했다.
14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이찬진 금감원장은 서울 서대문구 한국공인회계사회 회관에서 12개 회계법인 CEO와 간담회를 열고 자본시장의 신뢰와 회계투명성 강화를 위한 회계법인의 역할을 논의했다. 간담회에는 최운열 한국공인회계사회장 등도 참석했다.
이 원장은 “회계법인의 진정한 경쟁력은 단기 이익이 아닌 감사품질에 기반한 장기적 신뢰에서 나온다”며 “보수 위주의 과도한 경쟁으로 품질이 저하되지 않도록 인력·보상체계에서 품질을 우선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또한 금감원은 감사품질 수준에 따라 감리주기를 차등화하고, 품질이 우수한 회계법인이 감사인 지정에서 유리하도록 제도 개선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이 원장은 회계법인의 독립성과 지배구조 확립의 중요성도 강조했다. 감사품질과 공익을 중심으로 의사결정할 수 있도록 실효성 있는 견제기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금감원은 향후 네트워크 회계법인의 비감사용역 공시대상 확대를 검토할 방침이다.
분식회계 등 회계부정에 대해서는 “전문가적 의구심을 가지고 왜곡 표시 가능성을 철저히 검증해야 한다”며 “고의·장기간 회계부정에는 과징금 상향 등 엄정한 제재를 부과하겠다”고 밝혔다.
이 원장은 또한 “감사보고서는 기업과 투자자를 잇는 소통 창구인 만큼, 중요 위험과 추정사항을 명확히 설명해야 한다”며 “복잡한 금융상품과 신산업 분야는 투자자 보호 차원에서 더 철저한 검증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인공지능(AI)과 빅데이터 등 디지털 감사기술 활용을 통한 감사혁신도 주문했다. 이 원장은 “반복 업무 자동화, 검증범위 확대 등을 통해 효율성과 효과성을 동시에 높일 수 있다”며 “데이터 보안과 정보보호 관리에도 힘써야 한다”고 했다.
이날 참석한 회계법인 대표들은 감사품질 향상을 위한 투자와 노력을 지속하겠다고 밝혔으며, 감사인지정 제도 합리화와 디지털 감사 지원 등 제도 개선을 요청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