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모레퍼시픽, 존스홉킨스와 뉴욕서 '피부 장수' 연구 성과 발표

정혜진 아모레퍼시픽 설화수 전무가 지난 13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에서 열린 심포지엄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사진아모레퍼시픽
정혜진 아모레퍼시픽 설화수 전무가 지난 13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에서 열린 심포지엄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사진=아모레퍼시픽]

아모레퍼시픽은 지난 13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에서 ‘피부 장수’를 주제로 한 심포지엄을 개최했다고 14일 밝혔다.

이번 행사는 아모레퍼시픽과 존스홉킨스 의과대학의 공동 연구를 통해 도출한 성과를 발표하는 자리였다. 앞서 아모레퍼시픽은 지난 2022년부터 존스홉킨스 의과대학 피부과와 함께 ‘뉴 뷰티 리서치 이니셔티브(New Beauty Research Initiative·NBRI)’를 출범하고 피부 장수를 연구해왔다.

올해 심포지엄에서는 △진세노믹스 △림파낙스 △레드플라보노이드 등 아모레퍼시픽 독자 성분이 피부 장수에 미치는 작용 기전과 임상 효능이 주요 발표 주제로 다뤄졌다.

강세원 존스홉킨스 의과대학 피부과 교수는 "피부는 인간 노화 연구의 강력한 모델이 될 수 있다"며 "피부 세포의 노화 변화는 다른 장기에서 일어나는 변화와 유사하고, 피부가 전신 염증 신호 전달의 ‘바이오 마커(Bio Marker)’ 역할을 할 수 있다"고 말했다.

박원석 아모레퍼시픽 R&I센터 소장은 자외선을 이용한 복합 노화 분석 시스템을 통해 염증 자극이 피부 노화를 가속화한다는 점을 입증했다고 소개했다. 그는 "아모레퍼시픽의 안티에이징 특허 성분 진세노믹스가 피부 노화 생체 반응을 억제하고, 옥시탈란 섬유의 분해를 막아 진피 구조를 보존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진세노믹스는 인삼에 존재하는 극미량의 안티에이징 성분을 6000배 농축하고, 바이오 기술을 통해 피부 흡수력을 극대화한 성분이다.

이어 마틴 프린스 알폰스 존스홉킨스 의과대학 교수와 아모레퍼시픽 연구팀은 인삼 뿌리 추출물의 항염 및 면역 조절 효능을 공개했다. 알폰스 교수는 "인삼 뿌리 추출물이 미세먼지 등 외부 환경으로 인한 면역 불균형을 회복시키고, 노화 관련 면역 조절에 영향을 미쳐 보다 건강한 노화를 돕는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 성분이 외부 스트레스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고 항염·항노화 기능 강화에 도움을 주는 차세대 성분이 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안나 치엔 존스홉킨스 의과대학 교수는 동백씨 추출물의 항노화 효과에 대해 발표했다. 치엔 교수는 "동백씨 추출물이 노화된 피부 세포의 기능을 회복하고 콜라겐 섬유 생성을 유도해 피부 두께와 탄력을 증가시킨다"고 말했다. 이어 "44명의 참가자를 대상으로 24주간 0.1% 농도의 동백씨 추출물을 얼굴과 목 부위에 국소 적용한 결과, 잔주름·주름·피부결과 광채·색소침착이 모두 개선됐다"고 했다. 특히 피부 결과 광채 개선 효과는 사용 8주 만에 확인된 것으로 나타났다.

정혜진 아모레퍼시픽 설화수 전무는 "설화수 제품에 적용된 이러한 성분들은 아모레퍼시픽이 피부 과학의 최전선에서 소비자의 ‘웰에이징’을 위해 혁신하고 있음을 보여준다"며 "앞으로도 진보된 피부 장수 솔루션을 선보일 계획"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