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이 고용 시장의 둔화를 지적하며 수개월 내 양적긴축(QT·대차대조표 축소) 종료와 연내 기준금리 추가 인하 가능성을 예고했다.
14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 등 외신들에 따르면 파월 의장은 이날 필라델피아에서 열린 미국실물경제협회(NABE) 콘퍼런스 연설에서 "8월까지 실업률은 여전히 낮았고 고용은 가파르게 둔화했다"며 "이는 부분적으로 이민 감소로 인한 노동력 증가 감소와 노동시장 참여 감소 때문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어 "고용 시장의 역동성이 둔화하며 다소 약화된 상황에서 고용의 하방 위험이 증가한 모습이다"라고 덧붙였다.
그는 연준의 대차대조표와 관련해서도 "우리가 충분하다고 판단하는 수준에 도달하면 축소를 멈출 계획"이라며 "앞으로 몇 달 안에 그 시점에 접근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연준이 금융 위기 당시 시장 안정을 위해 매입했던 미국채 등의 보유 자산을 도로 내다 파는 양적긴축을 수개월 내 중단할 수 있다고 시사한 것이다. 연준은 코로나19 팬데믹 당시 미국채 등 금융 자산을 대거 매입했으나, 팬데믹이 수그러든 2022년부터는 양적긴축을 개시해 보유 자산을 줄이고 있다. 이는 매월 일정 규모의 보유 채권을 매각하거나 만기 후 재투자하지 않는 방식으로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한때 9조 달러(약 1경2783조원)에 달했던 연준의 보유 금융 자산은 현재 6조6000억 달러 수준까지 줄어든 상태이다.
파월 의장은 전체적으로 올 들어 단기 인플레이션 기대가 높아졌다면서도 "고용 하방 위험으로 인해 리스크 균형에 대한 우리의 평가가 달라졌다"고 설명했다.
이에 파월 의장이 고용 시장 둔화와 양적긴축 중단을 언급함에 따라 연준이 금리 인하 기조를 이어갈 것이라는 기대가 높아지고 있다. JP모건의 마이클 페롤리 수석 미국 이코노미스트는 보고서를 통해 "(연준이) 다음번 (FOMC) 회의에서 금리를 인하할 것이라는 데에는 의심의 여지가 거의 없었지만, 오늘 발언은 그 기대를 강력하게 확인시켜 준 것"이라고 밝혔다.
연준은 지난달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에서 트럼프 2기 들어 첫 기준금리 인하를 단행한 가운데 기준금리를 종전 4.25~4.50%에서 4.00~4.25%로 25bp(1bp=0.01%포인트) 낮췄다. 현재 금리 선물 시장에 반영된 연준 금리 전망을 추적하는 시카고상품거래소(CME)의 페드워치에 따르면 이번 달 FOMC에서 기준금리가 25bp 인하될 가능성은 95%를 넘고 있다.
14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 등 외신들에 따르면 파월 의장은 이날 필라델피아에서 열린 미국실물경제협회(NABE) 콘퍼런스 연설에서 "8월까지 실업률은 여전히 낮았고 고용은 가파르게 둔화했다"며 "이는 부분적으로 이민 감소로 인한 노동력 증가 감소와 노동시장 참여 감소 때문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어 "고용 시장의 역동성이 둔화하며 다소 약화된 상황에서 고용의 하방 위험이 증가한 모습이다"라고 덧붙였다.
그는 연준의 대차대조표와 관련해서도 "우리가 충분하다고 판단하는 수준에 도달하면 축소를 멈출 계획"이라며 "앞으로 몇 달 안에 그 시점에 접근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연준이 금융 위기 당시 시장 안정을 위해 매입했던 미국채 등의 보유 자산을 도로 내다 파는 양적긴축을 수개월 내 중단할 수 있다고 시사한 것이다. 연준은 코로나19 팬데믹 당시 미국채 등 금융 자산을 대거 매입했으나, 팬데믹이 수그러든 2022년부터는 양적긴축을 개시해 보유 자산을 줄이고 있다. 이는 매월 일정 규모의 보유 채권을 매각하거나 만기 후 재투자하지 않는 방식으로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한때 9조 달러(약 1경2783조원)에 달했던 연준의 보유 금융 자산은 현재 6조6000억 달러 수준까지 줄어든 상태이다.
파월 의장은 전체적으로 올 들어 단기 인플레이션 기대가 높아졌다면서도 "고용 하방 위험으로 인해 리스크 균형에 대한 우리의 평가가 달라졌다"고 설명했다.
연준은 지난달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에서 트럼프 2기 들어 첫 기준금리 인하를 단행한 가운데 기준금리를 종전 4.25~4.50%에서 4.00~4.25%로 25bp(1bp=0.01%포인트) 낮췄다. 현재 금리 선물 시장에 반영된 연준 금리 전망을 추적하는 시카고상품거래소(CME)의 페드워치에 따르면 이번 달 FOMC에서 기준금리가 25bp 인하될 가능성은 95%를 넘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