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인 대상 사기·납치·감금 범죄가 급증한 캄보디아에 한국인 80여 명이 구금돼 있으며 본인들이 귀국을 거부하고 있다고 캄보디아 정부가 밝혔다.
15일 신화통신 등에 따르면 터치 속학 캄보디아 내무부 대변인은 "한국 당국자들이 (구금된 한국인들을) 접촉했지만 이들은 한국으로 돌아가기를 거부했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이는 내가 받은 초기 정보"라며 "한국 언론에 보도된 실종자 80명과 이들이 동일 인물인지 아닌지는 모른다"고 덧붙였다.
전날 한국 외교부는 캄보디아에 갔다가 안전이 확인되지 않는 한국인이 80여 명에 이른다고 밝혔다.
외교부 당국자에 따르면 지난해부터 올해 8월까지 캄보디아에 입국했다가 연락 두절 또는 감금됐다는 신고가 들어온 한국인 중 지난 8월 기준으로 80여 명의 안전이 확인되지 않는 상태로 전해졌다.
외교부는 또 지난 7월과 9월 캄보디아 측 단속에 따라 한국인 90명이 온라인 사기 범죄 현장에서 검거됐으며 60여 명이 아직 추방되지 않고 남아 있다고 설명했다.
캄보디아 당국은 지난 8월 20대 한국인 대학생을 감금·고문해 살인한 혐의로 중국인 3명을 구속기소했다. 속학 대변인은 “경찰은 공범 2명을 적극적으로 추적 중”이라며 “다른 일당을 찾기 위해 수사를 확대하고 있으며 한국대사관과 긴밀히 협력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외교부는 이날 '캄보디아 취업사기·감금 피해 대응 태스크포스(TF)를 공식 발족했다. 이번 TF는 박일 전 주레바논대사를 팀장으로 하며 영사안전국, 아세안국, 개발협력국 등 외교부 내 관련 실·국이 참여해 구성됐다. TF 팀장으로 임명된 박 대사는 캄보디아에 체류하며 캄보디아 당국과 긴밀히 소통하는 등 협력을 이끌어갈 예정이다.
경찰은 이날 '전기통신금융사기통합대응단'(통합대응단) 개소식을 하고 보이스피싱 범죄 통합 대응체계를 구축했다.
통합대응단에는 경찰청뿐만 아니라 금융위원회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등에서 파견된 인력도 참여해 정부 간 협업을 위한 거점 역할을 맡는다. 경찰청은 “동남아 지역 범죄조직에 의한 보이스피싱과 투자리딩방 등 신종 사기 범죄에 대해 통합대응단을 중심으로 대응을 강화할 방침”이라고 했다.
한편 지난 8월 20대 한국인 대학생이 캄보디아에서 고문당한 후 숨진 사실이 널리 알려지면서 캄보디아 출국 후 연락 두절 신고가 전국에서 속출하고 있다. 경기남부경찰청은 캄보디아로 출국한 후 실종·납치 등이 의심되는 신고를 32건 접수했다고 밝혔다. 충북경찰청도 올해 캄보디아로 간 가족이 실종됐다는 신고를 10건 접수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